DOI QR코드

DOI QR Code

Shell Deposits in the Lower Cretaceous Hasandong Formation from Daesong-ri, Geumnam-myeon, Hadong-gun - Occurrences, Taphonomy, Paleoenvironments, and Implications in Geological Heritage -

하동군 금남면 대송리 부근의 하산동층에서 산출되는 패각화석층 - 산상, 화석화과정, 고환경 및 지질유산으로서의 의미 -

  • Paik, In Sung (Department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Na Young (Department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 Joo (Department of Earth Environmental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백인성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나영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현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Received : 2011.01.24
  • Accepted : 2011.02.23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Paleoenvironments of the shell deposit-bearing sequence in the Hasandong Formation at Daesong-ri area, Hadong-gun, Korea, ar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sedimentary facies and taphonomy of the shell deposits, with a discussion of their stratigraphic implications. A shell deposit-bearing sequence without reddish beds is mostly grayish, and the bedding is laterally extensive. These deposits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in sandflats, mudflats, and shallow lakes generated by flooding on an alluvial plain. The shell deposit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and the concentration of a single species of Brotiopsis wakinoensis in the shell deposits is deemed to have been attributed to the exclusive inhabitation of the genus Brotiopsis. Type 1 and 2 shell deposits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ssilized in sandflats and mudflats after death in their habitat of shallow lakes and subsequent transformation by sheetflooding and lake flooding. Type 3 shell deposits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ssilized in their habitat of shallow lakes during a stabilized period of lake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the shell deposit-bearing lacustrine sequence in a few tens of meters in thickness in the Hasandong Formation of fluvial deposits is compared to the shift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from the Hasandong Formation (fluvial deposits) through the Jinju Formation (lacustrine deposits) to the Chilgok Formation (alluvial plain deposits), which suggests that additional lithostratigraphic classification is needed in the Hasandong Formation. The shell deposits at the study area can provide valuable data to understanding the paleoenvironments during the Early Cretaceous Period of Korea, and should give basic data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Cretaceous mollusc deposits in Korea as a geological heritage.

복족류 패각화석층이 반복적으로 발달되어 있는 하동군 대송리 지역의 하산동층을 대상으로, 이 지역 퇴적층의 퇴적상 및 퇴적환경을 해석하고, 수반되어 있는 패각화석층의 화석화과정 발달특성을 토대로 이 지역 하산동층 퇴적 당시의 고환경을 해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퇴적층의 암층서적 의미와 지질유산으로의 가치를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에 발달된 하산동층의 퇴적층은 붉은색층을 협재하지 않고 층의 횡적인 연장성이 양호한 회색질 우세의 퇴적층으로서 대규모 범람에 의해 충적평원 내에 얕은 호수가 형성되고 이후 소멸해 가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호수 주변의 사질평원 내지 이질평원에서 천호저에 이르는 환경의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Brotiopsis wakinoensis 단일 종만이 집중되어 나타나는 특성을 보이는 연구지역의 패각 화석층은 Brotiopsis 속의 배타적 서식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지며, 패각화석층의 산출특성을 기준으로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 유형 1과 2는 이들이 서식하던 천호저 환경에서 사후에 층상범람 및 호수의 범람에 의해 이질평원 내지 사질평원으로 재동되어 화석화된 것이며, 유형 3은 충적평원상에 발달한 얕은 호수가 비교적 안정화된 시기에 호저에 집단으로 서식하던 복족류들이 죽은 후 서식하던 장소에 대부분 퇴적되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하산동층의 충적평원층 내에 이와 같은 특성의 호수퇴적층이 수십 m 두께의 규모로 발달된 기록은 경상누층군 내에서 일어난 하산동층(하성평원)-진주층(호수)-칠곡층(충적평원) 간의 퇴적환경 변화의 축소판이라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의 퇴적층이 유사한 층준에 걸쳐 여러 지역에 발달되어 있음은 암층서에 의한 하산동층의 층서대비에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함을 제시해 준다. 이와 함께 연구지역 하산동층의 복족류 패각화석층은 우리나라 백악기 초기의 고환경을 이해하는 데에 귀중한 자연사기록으로서, 향후 국내 백악기 연체동물 화석층의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분석에 유용한 바탕자료가 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