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e Growth and Ecosystem Conditions of Docheon Forest (Natural Monument No. 514) in Docheon-ri, Yeongdeok - Focusing on Plant Ecosystems -

천연기념물 제514호 영덕 도천리 도천숲의 생태계 현황 및 수목 생육 특성 - 식물생태계 현황을 중심으로 -

  • Kim, Dong Wook (Na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ur, Bog Su (Na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Seung Joo (Na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Hyo Jeong (Na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동욱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 허복수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 이승주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 김효정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11.01.24
  • Accepted : 2011.02.23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ree growth and the status of the ecosystem in Yeongdeok Docheon-ri Docheon forest, which wa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514.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soil properties were generally within desirable levels except for some properties. The forest was composed of 503 trees. Major trees included Zelkova serrata, Celtis sinensis, Cornus walteri, Diospyros lotus, Hemiptelea davidii, and Evodia daniellii. In particular, trees such as Zelkova serrata, Celtis sinensis, and Cornus walteri showed D.B.H ranging from 10cm to 70cm. These trees appeared to be major tree species since the beginning of Docheon forest's existence. The wild birds observed from the site were from 18 families, 20 species, and 95 individuals. Also were found 1 mammal species, 1 reptile species, and 1 amphibian species. A dead Aix galericulata (designated Natural Monument No. 327) was found in the forest. The annual tree diameter growth of the sample trees was 2.3mm per year on average. The average age of the overstory trees was approximately 101 years, and the oldest tree was estimated to be 300~400 years old.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도천리 75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영덕 도천리 도천숲(2009년 12월 30일 천연기념물 제154호 지정)을 연구대상지로 설정하여 도천숲 전체($19,064m^2$)의 정밀한 생태계 현황 및 수목 생육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수림지의 토양환경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일부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림지 내 분포하고 있는 수목은 총 503개체이며 수림지의 주요 구성수종은 느티나무, 팽나무, 말채나무, 고욤나무, 시무나무 쉬나무의 6종이었다. 특히 느티나무, 팽나무, 말채나무는 70cm 이상의 대경목에서 10cm 미만의 어린 수목까지 고르게 분포하고 있어 초기 수림지의 조성 당시부터 현재까지 수림지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수종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출현한 야생동물은 야생조류 18과 20종 95개체, 포유류 1종, 파충류 1종, 양서류 1종이었으며 천연기념물 제327호인 원앙 1개체가 사체로 관찰되었다. 수림지 내 대표 수종의 연간 직경생장량 분석 결과 연간 평균 직경생장량은 2.3mm이었다. 교목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수목의 평균 수령은 약 101년으로 추정되었으며 수림지 내 최고령 수목의 수령은 약 300~400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영덕 도천리 도천숲(천연기념물 제514호)의 지속가능한 관리계획 수립 및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수림지의 훼손시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2010년 천연기념물(수림지) 실태조사 연구

Supported by : 국립문화재연구소

Cited by

  1. 천연기념물(식물)의 유형 및 지정기준 변화에 대한 비교 고찰 vol.50, pp.2, 2011, https://doi.org/10.22755/kjchs.2017.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