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Efficiency of Treatments for Usuki Stone Buddha Statues in Japan

일본 우스키 석불군의 재질특성과 보존처리제 적용 효과

  • Lee, Myeong 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Jae Ma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Sun My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a Dug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Morii, Masayuki (Center for Conservation Science and Restoration Technique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Cultural Properties)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재만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선명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사덕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모리 마사유키 (동경문화재연구소 보존수복과학센터)
  • Received : 2011.06.30
  • Accepted : 2011.07.2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Usuki Stone Buddha Statues in Japan are carved on mainly dark gray welded lapilli tuff accompanied by lenticular fiamme. This rock is composed of matrix which contains feldspar and opaque minerals with some phenocrysts of quartz and feldspar. The matrix is slight to highly welded. The statues have been weathered and weakened by salt and freezing of water. To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rock, consolidants and water repellents were applied. The absorption ratio of the rock was highly decreased after the treatment of the water repellents, the consolidant OH 100, as well. Ultrasonic velocity revealed similarly higher values in the treated rock by KSE 300 and OH 100, compared to non-treated rock. KSE 300, especially, highly increased the Equotip surface hardness. All studied consolidants and water repellents were found to change the original color of the stone. SNL, specifically, resulted the significant change in color. In addition, KSE 300 were observed to improve resistance to weathering such as microcrack and fracture through freezing-thawing test after treatment.

일본 우스키 석불군의 주요 구성암석은 용결응회암으로 암회색을 띠며 렌즈상 피아메가 발달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암편을 함유하고 있다. 이 암석은 대체로 장석 및 불투명 광물 등으로 이루어진 기질에 석영과 장석 반정이 관찰되며 강용결에서 약 또는 미 용결까지 다양한 산출상태를 보인다. 또한 지하수에 의한 염류 석출, 동결 파쇄 등 다양한 풍화요인에 의해 강도가 저하된 상태이다. 이 암석의 용결 및 풍화상태에 따라 보존처리제의 표면처리 실험 결과, 흡수율은 발수제가 강화제에 비해 높은 감소를 보이며 강화제 중에서는 OH 100이 높은 감소율을 보인다. 초음파속도는 전체적으로 KSE 300과 OH 100이 비슷한 강도증가를 보이며 에코팁 표면경도는 모든 시료에서 KSE 300이 높은 경도증가를 나타냈다. 색변화는 강화제가 발수제에 비해 적었으며 발수제 SNL은 표면색의 변화가 현저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동결-융해 실험 결과, 미처리 시료에 비해 KSE 300으로 처리한 시료가 균열 및 깨짐 등에 대한 풍화 저항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