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무형문화재 보호제도의 이행과정과 그 성과에 관한 검토

Review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Achievement of ICH Safeguarding System

  • Lee, Jae Phil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1.09.29
  • 심사 : 2011.11.14
  • 발행 : 2011.12.30

초록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무형문화재 보호가 시작되었다. 우리의 무형문화재 보호제도는 일본의 문화재보호법에 근거하고 있다. 일본은 1954년 기 예능 보유자를 인정하는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제도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중요무형민속문화재, 선정보존기술, 기록작성 등 4가지의 무형문화재 보호제도를 채택하여 다원화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은 무형문화재 보호제도를 도입하면서 일본으로부터 벤치마킹한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제도 하나만을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제도로 특징되는 우리의 무형문화재 보호제도는 무형문화재 종목의 기예를 발현하는 기 예능 보유자를 인정하고, 그 보유자가 전승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호제도이다. 그 결과 전승자의 확산 및 이와 관련한 관계기관의 설립 등 무형문화재를 전승하는 내재적인 기반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전승자를 중심으로 한 보호제도가 50여 년간 지속되면서 종목 지정의 한계성, 파편화된 지정방식, 무형문화재의 문화 권력화, 종목지정(보유자 인정)조사 평가방식 등 무형문화재의 보호방법과 전승현실의 난맥상이 지적되고 나아가 무형문화재 전승의 진정성 문제와 관련하여 보호제도 자체의 정당성 문제 등 제도에 대한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글은 무형문화재 보호제도에 대한 이러한 문제제기와 그 원인을 검토하기 위하여 그간의 제도 이행과정과 성과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문화재위원회 회의자료, 문화재 정책 담당자, 문화재위원 전문위원들의 저술 등을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제도운영의 전반적인 사항보다는 제도의 핵심인 중요무형문화재 지정(보유자 인정)과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특정 기 예능 보유자의 존재가 전제되어야 무형문화재 종목 지정이 가능하므로 현실적으로 무형문화재 보호범위를 확대하기 어려운 제한성, 보유자를 정점으로 한 위계적 폐쇄적 전승구조로 인해 다수의 전승자 접근이 제한되는 문제점 그리고 무형문화재 전승원리로 채택한 '원형' 개념이 무형문화재의 실제전승과 맞지 않는 부적합성 등을 현제도의 문제점으로 상정하고, 이러한 문제점이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제도에 뿌리를 두고 생겨난 것임을 밝혀서 향후 우리 무형문화재 보호제도의 확장을 위해 보유자 인정제도는 반드시 개선되어야할 제도이고 그 외에 다원화된 보호제도가 수립되어야함을 강조하였다.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has begun since1962 whe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was established. Korean ICH Safeguarding system is initially derived from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in Japan. Japan has started Important ICH Designation System in 1954 to concede the skills and artistic talents holders, thus it could implement the multilateral system management for adopting different ICH protection systems such as Important Intangible Folklore Properties, Selection and Preservation Techniques, and Documenting Records. However, Korea has solely adopted Important ICH Designation System sinc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was introduced. Korean ICH Safeguarding System represented by the Certification System of ICH Skill Holders is to ensure skills and artistic holders who perform the elemen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manage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let the skills and artistic holders instruct inheritors. As a result, it could build up the internal foundation for the diffusion of inheritors and established the related organizations. However, the inheritor-centered protection system has caused many problems as it is being lasted for more than fifty years. Fragmented designation measures, the cultural power of skill holders, and th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have pointed out the difficulties of safeguarding and preservation measures of ICH. Moreover,the legitimacy of safeguarding system related in the authenticity of transmission in ICH has emerged to review the safeguarding system of ICH with diverse viewpoints. Therefore, this paper will review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achievement of ICH safeguarding system to examine the problem and causes of the safeguarding system. The conference records of Cultural Property Association and articles of cultural properties policies directors, Cultural Property Association members, and professional experts are being used for the initial materials of this paper, and it is examined for the contents of designation system of Important Cultural Heritage, rather than overall cases. Thus such problems the limitation of expansion in ICH lists as inheritor-centered designation system, hierarchical and exclusive transmission system, inappropriate concept of archetype as the principle of ICH transmission are derived from the root of Important ICH designation system. Thu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is system must be revised for the expansion of ICH safeguarding system in Korea and points out multilateral protec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s well as Certification System of Important ICH skill holders.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무형문화재 '원형규범'의 이행과 의미 고찰 vol.49, pp.1, 2016,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1.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