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Bleaching Effect of Neutralization Agent (Sodium Meta Silicate and Triethylamine) Regarding Its Concentration - Focused on 10% Urea Hydrogen Peroxide Bleaching Gel -

도자기 표면 변색에 대한 중화제(Sodium Meta Silicate 및 Triethylamine)의 농도별 표백 효과 - 10% 과산화요소 표백겔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1.22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bleaching effect of the two types of gel made with neutralizing agent such as sodium meta silicate gel & triethylamine gel mixed with carbopol resin 940 & 934 which has thickness effect in broad pH region and mixed with 10% hydrogen peroxide. Sodium meta silicate gel(1.6g included) provided pH 10, the most suitable environment for bleaching. The result of comparison of the baseline colour changes(${\Delta}E*ab$) and colour changes according to time(${\Delta}E*ab$) is as following. Group1(carbopol 940, sodium meta silicate, Urea Hydrogen Peroxide) showed 112% efficiency at CS-2; 63.3% at CS-4; 87.4% at CS-6. Group2(carbopol 934, sodium meta silicate, Urea Hydrogen Peroxide) showed 77.3%, 67.3%, 109.6% at CS-8, CS-10, CS-12 respectively; CT-1, CT-3, CT-5 of Group3(carbopol 940, triethylamine, Urea Hydrogen Peroxide) showed 36.8%, 73.2%, 74%; In Group4(carbopol 934, triethylamine, Urea Hydrogen Peroxide), efficiency of CT-6, CT-8, and CT-10 was 81.7%, 95.4%, and 95.7%. The paper showed that various concentration of neutralizing agent such as sodium meta silicate and triethylamine have bleaching effect. Viscosity of the gel including sodium meta silicate was higher than the gel including triethylamine. High viscosity helps the bleaching gel sit on the smooth slope of the ceramics. As a result, sodium meta silicate is considered to provide thickening and bleaching effect required in producing 10% hydrogen peroxide gel.

본 연구에서는 넓은 pH영역에서도 증점효과를 가지는 카보풀 수지 940, 934를 가지고 중화제(sodium meta silicate, triethylamine)별 겔을 제조하여 10% 과산화요소를 첨가하고, 이에 따른 표백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메타규산나트륨(sodium meta silicate) 1.6g을 첨가한 실험군에서 표백효과의 최적 조건인 pH 10을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각군별 대조군 Baseline 색 변화량(${\Delta}E*ab$)과 시간별 색 변화량(${\Delta}E*ab$)을 비교해 보면 1군(카보풀 940, 메카규산나트륨, 과산화요소)은 CS-2에서 112%, CS-4는 63.3%, CS-6은 87.4%의 표백효율을 나타냈으며, 2군(카보풀 934, 메카규산나트륨, 과산화요소; CS-8, CS-10, CS-12)에서는 순서대로 77.3%, 67.3%, 109.%로 나타났다. 그리고 3군(카보풀 940, 트리에탄올아민, 과산화요소;CT-1, CT-3, CT-5)에서 36.8%, 73.2%, 74% 순으로, 4군(카보풀 934, 트리에탄올아민, 과산화요소; CT-6, CT-8, CT-10)에서는 81.7%, 95.4%, 95.7%의 표백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중화제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표백표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타규산나트륨을 중화제로 첨가한 것보다 트리에탄올을 중화제로 첨가한 것이 표백효율이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에 사용된 겔의 점도는 메타규산나트륨을 첨가한 군에서 점도가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한 겔보다 높았다. 이는 유약이 시유된 경사진 도자기 표면에 표백겔이 흐르지 않고 부착되는 장점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10% 과산화요소 표백겔을 만들고자 할 때 메타규산 나트륨을 첨가하면 증점효과와 원하는 표백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