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statistical error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2006 -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에서 볼 수 있는 통계적 오류의 고찰(2006 - 2010)

  • Kang, Dong-Wan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Seo, Yunam (Department of Statist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Oh, Nam-Sik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Lim, Hoi-Jeong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강동완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 서윤암 (전남대학교 통계학과) ;
  • 오남식 (인하대학교 치의학교실) ;
  • 임회정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정학교실)
  • Received : 2012.08.31
  • Accepted : 2012.10.11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Purpose: Use of in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may lead to incorrect conclusions and a waste of valuable resourc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frequency and the types of several common statistical errors in the published article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JKAP) for a 5-year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Of 336 articles in the JKAP published from 2006 to 2010, 255 articles using statistics were reviewed and classified by statistical method and year. The frequency and types of the statistical methods were examined, and the statistical errors were evaluated by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perimental design, assumption check, independent outcomes, proper sample size and suitable use of statistical method. Statistical guidelines were completed based on the appropriateness. Results: Of the 255 articles using statistics, 193 articles (75.9%) used inferential statistics and 153 articles used SPSS statistical software (60.0%). Of the articles using inferential statistics, the thre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 methods were ANOVA (41.5%), t-test (20.0%), and the nonparametric method (16.9%). The average rate of statistical errors was 61.2 percent, similar to the rate reported by several studies completed for the medical journal. Conclusion: After the whol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post-hoc tests for the pairwise comparisons are required. The optimal sample size calculation is an essential part of this study protocol.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tatistical errors, statistical guidelin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each statistical test procedure and will contribute to the academic improvement in the JKAP.

연구 목적: 대한치과보철학회지의 최근 5년간 게재된 논문 중에서 통계 방법이 사용된 논문의 빈도를 조사하고 통계 방법의 종류 및 오류의 유형과 빈도를 살펴 보고 오류별 적절한 통계 방법을 제시하고 통계분석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대한치과보철학회지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게재된 논문 336편 중 통계방법이 사용된 255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도별로 통계 방법 사용 여부, 주로 사용된 통계방법과 소프트웨어의 유형과 빈도를 조사하였다. 통계방법 별로 고안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오류를 조사하였는데 주로 실험설계의 적절성, 분석법에 대한 가정검토, 표본의 독립성 및 변수의 적합성, 적절한 표본 수와 적절한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평가를 하였고 이를 토대로 고안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된 논문 중 추론통계를 사용한 논문이 193편(75.9%)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SPSS가 153편(59.77%)으로 가장 많았다. 추론통계를 사용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통계방법을 분류한 결과 ANOVA (41.5%), t-test (20.0%), 비모수 방법(16.9%)순으로 많았고 최근에 가까울수록 다양한 분석법을 시도하였으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논문들은 표본수의 산출근거를 제시하지 않았고, 분석법에 대한 가정(독립성, 정규성, 등분산성 등) 검토를 하지 않은 공통적인 오류를 범했다. 전체적으로는 61.2%의 통계적 오류를 범하였다. 결론: 대부분의 오류는 전체적인 분석 후 세부적인 분석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두 요인에 대한 상호작용을 무시하고 단변수 분석을 여러 번 한 경우와 연구 계획 단계에서 적절한 표본 수를 산출하지 않아 나타난 경우 등이었다. 이러한 통계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석 방법 별 검정 절차에 대한 통계분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Park DG, Choi YG, Kim YS, Shin SW. An assessment of statistical errors of articles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Comparison between Korean version and English vers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9;47:273-85. https://doi.org/10.4047/jkap.2009.47.3.273
  2. Kim YJ, Jang HS, Kim BO. Evaluation of statistical methods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published from 2000 to 2006. J Periodont Implant Sci 2009;39:399-405.
  3. HJ Lim. A Review of Statistical Methods in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the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Korean J Orthod 2004;34:371-9.
  4. Kim JS, Kim DK, Hong SJ. Assessment of errors and misused statistics in dental research. Int Dent J 2011;61:163-7. https://doi.org/10.1111/j.1875-595X.2011.00037.x
  5. Bland JM, Altman DG.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ing agreement between two methods of clinical measurement. Lancet 1986;1:307-10.
  6. Kuo YH. Extrapolation of correlation between 2 variables in 4 general medical journals. JAMA 2002;287:2815-7. https://doi.org/10.1001/jama.287.21.2815

Cited by

  1. vol.44, pp.6, 2014, https://doi.org/10.5051/jpis.2014.44.6.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