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내 단일통화(Euro) 사용이 회원국들 간 수출.입에 미치는 효과 분석

An Export and Import Effect Analysis among the Eurozone Members of Using the Euro

  • 강보경 (창원대학교 금융보험학과) ;
  • 최영두 (부산대학교 무역학부)
  • Kang, Bo-Kyung (Department of Finance & Insurance, Changwon National Univ.) ;
  • Choi, Young-Doo (International Trade & Studies, Pusan National Univ.)
  • 투고 : 2012.06.26
  • 심사 : 2012.09.11
  • 발행 : 2012.09.27

초록

1999년 유로존(Eurozone)은 단일통화 출현을 목표로 출범하였다. 유로화(Euro)의 사용은 회원국들에게 있어 GDP의 약 1%에 이르는 환전비용과 환위험 관리비용을 제거하였다. 또한 안정적인 역내 물가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고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며 투자와 고용의 촉진이 이루어졌다. 유로화의 국제적 위상에서도 세계 외환보유고 비중이 2010년 기준 26.9%로 제2위의 기축통화국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역내 회원국들 간에도 환율 고정에 따른 환율 위험을 떨어드려 투자와 경제성장을 유도하였다. 특히나 금융시장에서는 거래비용의 감소로 유로화의 수요가 증가하였고 교역에서도 대금지급수단으로 유로화가 사용됨으로써 교역증가로 인한 단일시장 효과를 유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U내 단일통화 사용이 회원국들 간의 수출과 수입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해 임의효과모형(random effect estimation)과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estimation)으로 분석해 보았다.

The Eurozone was launched to set a goal on using the single currency perfectly in 1999. Using the Euro could get rid of exchange cost and cost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which was approximately 1% of each member's GDP. It was possible that members has maintained a stable level of inflation and stimulate investment and employment with low interest rate. In addition, they could lead to economic growth and investment as well as increase the Euro demand in financial market. Especially, members has used the Euro as the method of payment on trade each other so that the volume of trade among the Eurozone members has increased continuously which was called "the effect of single market." This paper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using the Euro and members' export/import by using random effect estimation and fixed effect estimation. As a result, Eurozone members can get export decreasing effect of 4.68% and import increasing effect of 10.5% respectively on average by using the Euro.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