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Competition Structure of the Japanese Automobile Market and the Korean Enterprises' Strategies of Export to Japan

일본 자동차시장의 경쟁구조 변화와 한국기업의 대일 수출전략에 관한 연구

  • 권영욱 (건국대학교, 전한국무역협회) ;
  • 남경두 (건국대학교 국제무역학과)
  • Received : 2012.08.24
  • Accepted : 2012.12.17
  • Published : 2012.12.27

Abstract

Korea exported the passenger cars(HS 8703) such as key export item 41billion dollars in 2011. But the Korea's representative enterprises which bound forward in the global markets, have a tough time in the Japanese markets alone, and especially, they hardly sell key items such as automobiles. Japan is the third largest automobile market sold annually 5 millions, despite its long-term depression. At this time of point, analyzing the competition structure of the automobile market and proposing the strategies of the Korean enterprises's export to Japan would be a great academic contribution. This study analyzed the Japanese automobile market by the method of upper enterprises' Concentration Ratio($CR_k$) based on J. S. Bain's SCP paradigm and the literatur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market by Itami Hiroyuki. As a result, in the Japanese automobile market, it is very likely that there exist market dominating enterprises, but at the same time, the movement of change also could be grasped between Japanese car makers. Accordingly, the cross-leveraging distribution strategy, brand strategy and Japan specification(designed for Japan) development strategy of the Korean enterprises' export to Japan which can respond to the change of the Japanese automobile markets were proposed.

한국은 지난해 주력수출품목인 승용차(HS 8703)를 전세계에 409억불 수출하였다. 그러나 인접국인 일본시장에의 수출은 대 전세계 수출규모와 비교한다면 거의 없는 수준이다. 비록 장기간 경기침체 속에 있다하더라도 일본 자동차시장의 신차판매는 연간 500만대 규모의 큰 시장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 자동차시장의 경쟁구조를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한국 자동차기업의 대일 수출전략을 제시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고는 J. S. Bain에 의하여 정립된 상위기업집중율($CR_k$)과 이단경지(伊丹敬之)(Itami Hiroyuki) 등의 일본시장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일본 자동차시장의 경쟁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자동차시장에서는 시장지배적 위치에 있는 기업이 존재하고는 있으나, 차종별로 들어가면 빅3의 지배력에도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쟁구조도 계속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한국 자동차기업의 대일 수출전략으로 일본 자동차메이커와의 제휴를 통한 유통채널 상호활용 전략, 한국자동차의 브랜드전략, 일본사양(Designed for Japan) 개발을 통한 고급화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