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rade Effects of FTAs in Busan's Manufacturing Industry

FTA가 부산지역 제조업의 무역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08.25
  • Accepted : 2012.12.17
  • Published : 2012.12.27

Abstract

Since the Korea-Chile FTA in 2003, eight FTAs are now in force including Korea-EU and Korea-US FTA. The government anticipate that FTAs increase the GDP of Korea. Government-related research institutes officially reports the positive economic impact in Korea. However, the report does not show that how much Busan economy is affected by the FTAs. For this reason, we study the economic effects of FTAs in Busan. We compare the trade statistics before and after the time each FTA is in force. The resulting figures show that the exports and trades of Busan with the FTA n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nforcement. For example, the exports to Chile increased by 273% when we compare the three-year average trade. We also construct an econometrics model to estimate the price elasticity. The estimated elasticity of exports for manufactured goods is 1.38 while that of imports is 0.83. Among the manufacturing industry, machinery has the highest price elasticity, 1.8. The average tariff for manufactured goods is 3.9% for FTA nations, while that is 5.8% for Busan. This higher price fall in Busan is offset by the lower price elasticity to make Busan's export increase be greater than Busan's import increase. Busan's export increases by 4.8% while import increases by 3.7%. So, it is expected to be added to the annual trade surplus of approximately $107million.

우리나라는 2012년 11월 현재 총 8건, 45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발효하고 있다. 본격적인 FTA 시대가 전개됨에 따라 부산도 FTA의 혜택을 직접적으로 얻고 있는데, 부산의 전체 교역의 약 36%는 FTA 체결국과의 교역이며, EU, ASEAN, 유럽자유무역연합(EFTA)와의 교역비중은 전국 평균보다 높다. 특히, 칠레, 싱가포르, 유럽국가들과의 교역은 부산의 지리적 여건, 산업구조상의 특성 등으로 인해 발효 이후 3년 동안 200%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지난 11년간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부산 제조업의 수출 및 수입 수요함수를 추정한 결과 수출탄력성은 1.38으로 탄력적이고, 수입탄력성은 0.83으로 비탄력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FTA 시대에도 부산 제조업의 무역흑자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그 원인이 수출단가 하락에 따른 수출확대라는 점에서 향후에도 안정적인 무역흑자를 유지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세계 45개국과의 FTA가 본격적으로 발효됨에 따라 부산 제조업의 무역흑자는 연간 1억 752만달러씩 증가하여 부산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주로 수출에서는 자동차, 철강, 선박, 일반기계, 자동차부품의 수출이 증가할 것이고, 수입에서는 정밀기계, 화학, 광물 등 원자재 및 자본재의 수입증가가 예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