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베이비붐 세대를 고려한 복합노인복지시설의 주요 서비스 및 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in Service and Facility of Mixed Elderly Welfare Facility for Baby-boomer Generation

  • 박성준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이현수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투고 : 2012.04.05
  • 발행 : 2012.07.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needs of main service and facility in developing mixed elderly welfare facility for baby boomers generation. This is to search the effective solution in using mixed elderly welfare facility for baby boomers. This study deals with several cases and functions around mixed elderly welfare fac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s a survey of the general public.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literary and case studie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level of baby boomers' demand for the main service and facility of mixed elderly welfare facility.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targeting a number of 224 baby boomer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t was of the utmost importance for baby boomer to offer medical and health care service(4.40) followed by culture and leisure activity(4.27), lifestyle support(4.16), protection(4.11), and lifelong education(4.07). 2) The 30% of top priority in baby boomers' needs presented health management facility(4.41), hospital(4.40), sports leisure facility(4.33), U-Health(4.31), long protection facility(4.11). To sum up, in the course of develop mixed elderly welfare facility considering baby boomer, it is needed to reflect complexly the service and fac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강동진 외 6인, 복합커뮤니티 시설의 의미와 사례, 도시정보 V06, n.315, p.p.3-16, 2008
  2. 강병근 외 5인, 장애인 및 노약자의 생활시설 통합모델 설정을 위한 조사연구 -해외 시범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논문집 v.15 n.21. p.p.23-30, 2009
  3. 김기경,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부양 부담, 한국노동연구원, p.p.78-119, 2010
  4. 김문현 외 5인, 서울시 도시공공시설의 수요, 입지, 용지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1-233, 1995
  5. 김석준, 일본 고령자시설 복합화,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v.15 n.4, p.p.51-55, 2010
  6. 김선웅, 공공문화복지시설의 복합화 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1-211, 1999
  7. 김수미, 서수미, 김문덕, 일본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복합화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02, p.p. 437-441, 2008
  8. 김하나, 베이비붐 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 및 소비행동,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p.30, 2009
  9. 권순정 외 9인, 새로운 복지시설디자인, 교문사, 2011
  10. 권순정 외 9인, 복합복지시설의 서비스기능 및 서비스 그룹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v.16, n.1 p.p.17-24, 2010
  11. 김영민,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학적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2. 김우성, 허은정,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비교. 소비문화연구, v.10 n.4, p.p.31-53, 2007
  13. 박성준, 베이비부머 라이프스타일 기반 복합노인복지시설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4. 박혜선, 오은진, 일본 고령자복합시설과 데이서비스센터의 복합유형의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v.16 n.4, p.p.62-71, 2007
  15. 박혜선, 일본 노유복합시설의 세대 간 교류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08, pp.51-59, 2009
  16. 변미리, 서울의 베이비붐 세대, 도시의 미래를 변화시킨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정책리포트 71호, pp. 1-8, 2010
  17. 이금룡, 홍성태, 이윤경,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년층의 인터넷 사용 행태,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중앙행정논집, v.24, pp.215-237, 2004
  18. 이은령, 소준영, 이상호, 일본 노인복합시설의 유형별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6 n.6, pp.161-171, 2007
  19. 이효원, 박산돌, 주석중, 노인복지회관의 공간구성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v.10 n.223. pp.99-106, 2004
  20. 이춘희, 이주형, 공공시설 복합화의 적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 v. 52, pp.59-74, 2007
  21. 정경희,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진입에 따른 정책과제, 한국사회보장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2, 2010
  22. 최인영, 한국 중년세대의 가치관과 성공적인 노화 인식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23. 함인희,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와 세대경험, 나남출판, 2002
  24. 통계청,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2010
  25. 통계청, 통계로 본 베이비붐 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2010
  26. 서울특별시, 9988 복지센터 건립타당성 및 기본계획 연구, pp.70-75, 2010
  27. Uhlenberg, P., "Introduction : Why Study Age Integration?", Gernotologist, v.40 , n.3, pp. 261-266, 2000 https://doi.org/10.1093/geront/40.3.261
  28. Levy & Weitz, 오세조외 2인 역, 소매경영 "Retailing Management" 한올출판사, 2002
  29. Lee., Huh., "Consumption and saving behavior of older and younger baby boomers in Korea",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 Vol.25, n.4 pp. 507-526,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