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의료시설 기본설계 과정에서 나타나는 치유환경개념의 반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의료시설 설계경기 당선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nsidering Healing Environmental Concept in Domestic Healthcare Architectures Schematic Design - Focusing on the Prizewinner of Healthcare Architecture Design Competition Since 2000 -

  • 투고 : 2012.05.03
  • 발행 : 2012.07.25

초록

Healing environ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 of healthcare architecture planning through increasing an interest in qualitative development of healthcare architecture. Existing studies of post occupancy evaluation(POE) has been analyzed by healing environmental criteria which doesn't affect decision of architect in schematic design but is confined to evaluating architecture by researchers. Therefore it is difficult that verify the healing effect of space designed by healing environmental criteria proving from studies of architectural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healing environmental concept and criteria are concerned in department planning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in schematic design. For this study, the prizewinner of healthcare architecture design competition since 2000 are analyzed by standards of healing environmental concept and criteria which was arranged by staffs of architecture. From this study, first, healing environmental design is more considered in ward, public space and exterior in hospital planning. Second, nature environment is the most important design factor. Third, patients' privacy and daily life of their family are not well considered in the planning of hospital. Fourth, social support for patient is considered in not general wards but special wards.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진규, 치유환경 연구문헌 고찰 및 근거중심디자인(Evidence-Based Design) 활성화에 관한연구, 17(1), 2011
  2. 최광석 외1, 한국 병원의 스트레스에 대응한 치유환경 조건에 관한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8(1), 2002
  3. Cor Wagenaar, The Architecture of Hospital, NAi Publisher, 2006
  4. 김두규, 우리풍수 이야기, 1판, 북하우스, 서울, 2003
  5. Sara O. Marberry, Improving healthcare with better building design, 1st ed., HEALTH Administration Press, Chicago, 2006
  6. Therapeutic Environments, WBDG. ORG,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2006.06.18., http://www.wbdg.org/resources/therapeutic.php
  7. 김하진, 우리나라 종합병원의 리모델링 전략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2004
  8.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일반병실 확보비율확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p.1, 2010.07.29., http://www.mw.go.kr/
  9.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기술정보] 대구재활전문 산재병원 신축공사(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5, n.1, pp.65-76, 2009
  10. (주)나우동인 건축사사무소 외 2, [기술정보] 부천노인복지시설 건립공사(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3, n.4, pp.77-89, 2007
  11. (주)정립건축 외 3, [프로젝트 리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증축공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6, n.1, pp.101-106, 2010
  12. (주)진아건축 외 3, [기술정보] 지방공사 진주의료원 계획안 개념 설명,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0, n2, pp.159-161, 2004
  13. LG건설 외 4, 지방공사 진주의료원 신축이전사업,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세미나, pp.1-27, 2004 http://www.auric.or.kr/
  14. (주)엄&이종합건축사사무소 외 1, [프로젝트 리뷰] 당선작-전남대학교 어린이병원,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8, n.1, pp.71-76, 2012
  15.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외 1, [기술정보] 제주대학교 병원 신축 현상설계(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9, n.2, pp.64-76. 2003
  16. (주)공간건축사사무소 외1, [기술정보] 천안의료원 신축공사(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5, n2, pp.77-82
  17. (주)엄앤이 종합건축사사무소 외 2, [기술정보] 충주의료원 건립공사(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4, n.3, pp.67-76, 2008
  18. (주)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 외 1, [기술정보] 서부노인전문 요양센터 건립공사(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1, n.2, pp.101-110, 2005
  19. (주)대우건설 외 8, [기술정보] 양산 부산대학교병원 건립공사 현상설계(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1, n2, pp.85-99, 2005
  20. (주)에이텍 종합건축사사무소 외 3, [기술정보] 서울시립아동병원 증개축공사(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0, n.1, pp. 109-118, 2004
  21.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외2, [기술정보] 서울시립보라매병원 새병원 증축공사 현상설계(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1, n.1, pp.81-92, 2005
  22. (주)희림건축 외 2, [기술정보] 서울의료원 건립공사 현상설계(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2, n.3, pp.113-127
  23.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기술정보] 서울특별시 노인전문병원건립공사(당선작),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v.13, n.3, pp.69-82, 2007
  24. 조준영 외2, 국내 종합병원 스페이스 프로그램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4권, 4호, pp.4-6, 2008
  25. 김광문, 병원건축, 1판, 세진사, 서울, pp.121-122,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