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큰 수직 개구부를 갖는 건물 내부의 냄새확산 특성 및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Odor Diffusion through a Big Vertical Opening in a Building and its Control

  • 홍봉재 (청운대학교 건축소방설비학과) ;
  • 최두성 (청운대학교 건축소방설비학과) ;
  • 이영남 (수원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투고 : 2012.04.17
  • 발행 : 2012.07.25

초록

This study carried out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of vertical odor spread in the condition of having a big vertical opening on the top layer of a food court, and also made an analysis of pressurization(vertical pressure differential) and horizontal pressurization on the top layer for control of odor spread, and also made an analysis consequential on a line diffuser design condition for blocking odor spread onto the top layer; the major results from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ound that the odor concentration, which spread toward the top layer through a vertical opening from the lower layer, decreased in reverse proportion as pressurization amounts on the top layer increased up to 5~50% based on inhalation displacement(32.16kg/s)on the top layer, and the spread channel of odor was consistent with air flow. The design of a horizontal pressure differential on each layer was analyzed to be a major factor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the pressure differential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an opening, and the control efficiency of the line diffuser.

키워드

참고문헌

  1. 환경부, 악취방지법, 대기관리과, 법률 제 11259호, 제1장 제2조(정의) 전문개정(2010.2.4), 2012
  2. 국립환경과학원, 악취 공정시험기준 개선을 위한 연구, 냄새환경학회, p10, 2010
  3. 환경부, 악취관리 업무편람, 대기보전국, p.4, 2007
  4. 김우선, 최종희, 최상희, 하태영, 친환경 항만운영기술 적용 및 실행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159, 2008
  5. 윤동환, 박병윤, 손장렬, 미나미노, 사무소 건물의 실내환경 및 냄새에 관한 측정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2권 2호, pp.317-320 1992
  6. 김대웅, 초고층 공동주택 단위주거의 냄새확산 제어를 위한 코어의 최적 환기량과 급․배기구 위치 선정에 관한 연성해석 방법,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7. 김대웅, 이승민, 이중훈, 김태연,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의 냄새확산 방지를 위한 주방후드 개선 및 강력 배기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7호, pp.195-202, 2007
  8. 박병용, 박화란, 이중훈, 김태연, 이승복,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의 조리시 냄새확산에 대한 환기시스템의 성능 실험, 대한설비공학회논문집, 제 23권 10호, pp.195-202, 2007
  9. 김광호, 초고층 공동주택 코어부분의 냄새확산 제어를 위한 급배기 용량 및 위치 선정방법, 한국설비기술협회논문집, 2007
  10. 양정훈, 강재규, 서장후,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취기에 의한 실내공기오염과 오염물질확산 특성분석, 대한건축학회학회지, 제13권 2호, pp.123-130, 2010
  11. 박병용, 김태연, 이승복, 공기희석관능법과 추적가스법을 이용한 냄새에 의한 불쾌감 예측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5 n.8, pp.349-356, 2009
  12. 김광호, 김태연, 박상현, 김병선, 초고층 공동주택의 스택효과 가 단위주거에서 코어로의 냄새확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3권 제9호, pp.129-138, 2007
  13. 이동주, 박진철, 이언구, 초고층 공동주택의 실내오염물질에 따른 적정환 기량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1호, pp.159-162, 2005
  14. 김광호, 박상현, 김병선, 초고층아파트의 급기구의 위치에 따른 주방환기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 건축학회 논문집, v.3 n.2, pp.115-120, 2003
  15. 박우진, 박진철, 이언구, 초고층 공동주택환기시스템의 환기성능실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1호, pp.419-422, 2005
  16. 박덕연, 환기시스템에서의 배기 오염물질 재유입률 산출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7. Fang, L, G. Clausen, and P.O. Fanger. Impa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the perception of indoor air quality, Indoor air, Vol.8(2), pp.80-90, 1998 https://doi.org/10.1111/j.1600-0668.1998.t01-2-00003.x
  18. Toftum, J, A.S. Jorgensen, and P.O. Fanger.Upper limits for air humidity for preventing warm respiratory discomfort, Energy and Buildings, Vol.28(1), pp.15-23, 1998 https://doi.org/10.1016/S0378-7788(97)00018-2
  19. Berglund, L. and W.S. Cain. Perceived air quality and the thermal environment, Proceeding of IAQ '89:The Human Equation : Health and Comfort, San Diego, 1989
  20. Cain, W.S., B.P. Leaderer, R. Isseroff, L.G. Berglund, R.I. Huey, E.D. Lipsitt, and D. Perlman.Ventilation requirements in buildings-I: Control of occupancy odor and tobacco smoke od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17(6), pp.1183-1197, 1983 https://doi.org/10.1016/0004-6981(83)903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