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본 케어하우스 내 노인의 생활행위를 통한 거주단위의 공용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on Space of Residental Units Through the Liv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Japanese Care House

  • 김선태 ((사)생활환경디자인연구소)
  • 투고 : 2012.08.02
  • 발행 : 2012.10.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use and the liv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Japanese care house planed by spatial composition of the small sized residential units; and the research draws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design about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support the affluent the liv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order to observe the elderly's activities in three different types of residential units this investigation was progressed by two times, October 2005, June 2006. The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characteristics that ar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distinction of caring way by the liv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based on place, frequency, activities, context, etc. The following is the result. In order to encourage to diverse the living activities depended on their own lifestyle it is required to ingenious spatial design with which to introduce programs being sense of quotidian.

키워드

참고문헌

  1. 오영희, 김유경, 안세아,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국민인식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및 정책보고서 2011, 2011
  2. 권순정, 차현석,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거주단위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6권 6호, 2004
  3. 김선태, 일본 케어하우스 내 개호직원의 공간이용 특성을 통한 거주단위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권 9호. 2012
  4. 소갑수, 이한승, 자립고령자의 일상생활패턴 및 영역형성에 관한 고찰 - 일본 동경권내의 이용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3권 3호, p.60, 2007
  5. 안병영, 조준영, 양내원, 노인전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거실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4권 1호, 2008.
  6. 양금석, 노인전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생활행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9호, 2002
  7. 양금석, 치매전문노인요양시설 공간이용의 시계열적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11호, 2003
  8. 윤영선, 변혜령, 일본 노인전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공용공간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3권 6호, 2004
  9. 金善泰, 行動場面から見た特定施設型ケアハウスの建築計画に関する研究, 博士学位論文, 東京大学大学院,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