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885년~1910년 한성부(漢城府) 내 일본인 거류지의 근대적 위생사업의 시행과 도시 변화

Modern Sanitary Work and Urban Changes in Japanese Populated District in Seoul from 1885 to 1910

  • 이연경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성우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2.05.31
  • 발행 : 2012.10.25

초록

Since the 19th century when Korea began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there has often happened an epidemic of a disease such as cholera. Cholera has affected a very large number of people and spread quickly too therareas. This created the urgent need of sanitary measures for preventing cholera, including improving urban environment and installing health facilities in the cities. Despite the efforts of the city government of Seoul since 1883, it was very challenging to bring changes to the people's life as the sense of sanitation was still very unfamiliar with them. The city improvement work begun in earnest in 1896, but was stopped only two years later due to the city's financial constraint. On the contrary, in the Jingogae district, one of the Japanese-populated areas, sanitary works have been progressed continuously since 1885 when Japanese began to live in Korea. The road pavement and water supply and sewage system were done earlier than other parts of Seoul. As well as modern medical facilities, sanitary facilities such as rubbish dump, public restroom and public bath house were appeared in the district. From 1905, Japanese officers began to govern the whole sanitary work of Seoul, which has impacted the national sanitary system of Korea. Considering the fact that modern sanitary work is deeply related with the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sanitary condition has been regarded as an indicator of a modern city even at the early stage of moderniz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Avison O.R., 황용수, 장의식, (고종의 서양인 전의 에비슨 박사의 눈에 비친) 구한말 40여년의 풍경,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6
  2. Avison O.R., Cholera in Seoul, Korean Repository, Vol.3, p.p.341, 1895
  3. 강만길, (明治宮報拔萃駐朝鮮日本國)領事館報告(上),(下), 1883年-1895年, 서울, 國學資料院, 1992
  4. 경성거류민단역소, 박진우, 오일환, (국역) 경성발달사,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0
  5. 경성부, 京城府史, 第2卷, 京城府, 1936
  6. 김백영, 식민지 시기 경성에서의 도시인프라와 공공성 문제, 2004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 사회학대회, p.p. 659-665, 2004.6
  7. 김종근, 서울 中心部의 日本人市街地擴散, 서울학연구, 제21호, p.181-234,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3
  8. 카를로 로제티, 이돈수, 이순우, 꼬레아 에 꼬레아니, 서울, 하늘재, 2009
  9. 나리타 류이치, 서민교 역, 근대 도시공간의 문화경험, 서울, 뿌리와 이파리, 2011
  10. 바츨라프 세로셰프스키, 김진영, 코레야 1903년 가을, 개마고원, 서울, 2006
  11. 박경룡, 개화기의 한성부 사회상, 史學志, 28권, 1호, p..327-56, 1995
  12. 박윤재, 한말.일제 초 근대적 의학체계의 형성과 식민 지배, 연세대학교, 2002
  13. 박찬승, 러일전쟁 이후 서울의 일본인 거류지 확장 과정, 지방사와 지방문화, 5권, 2호, p.117-163, 2002
  14. 박찬승, 서울의 일본인 거류지 형성 과정 : 1880년대-1903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2권, p.64-100, 2002
  15. 박형우, 세브란스와 한국의료의 여명, 서울, 청년의사, 2006박형우, 제중원, 서울, 몸과마음, 2002
  16. 柵瀨軍之佑 著;久保田迷遷畵, (見聞隨記)朝鮮時事, 東京, 春陽堂, 1894
  17. 서울대학교 병원, 사진과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 의료문화사: 1879-1960,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09
  18.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六百年史. 第3卷: 1864-1910, 서울, 서울特別市, 1979
  19. 서울특별시,사진으로 보는 서울상수도백년사, 서울, 서울특별시, 2008
  20. 서정현, 光武改革期貞洞의 공간 변화,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1. 小林丈廣, 近代日本と公衆衛生: 都市社會史の試み,東京, 雄山閣出版, 2001
  22. 손정목,(韓國開港期) 都市變化過程硏究: 開港場.開市場.租界.居留地, 서울, 一志社, 1994
  23. 손정목,開港期漢城外國人居留의 過程과 實態, 향토서울, 제38호, p.29-82, 1980
  24. 신동원,조선말의 콜레라 유행 , 1821 - 1910, 한국과학사학회지, 11권, 1호, p.p. 53-86, 1989
  25. 신동원,한국 근대 보건의료사,서울, 한울, 1997
  26. 신동원, 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 몸과 의학의 한국사, 서울, 역사비평사, 2004
  27. 왕현종, 한말 한성부 토지가옥 거래의 추이와 거주지별 편차, 한국사연구, 150호, p.p.143-175, 2010
  28. 이규철,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공간의 재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9. 이사벨라 버드 비숍, 이인화,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서울, 살림, 1994
  30. 전우용, 한국 회사의 탄생,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31. 井上角五郞, 杉村濬, 柵瀨軍之佐, 한상일, 서울에 남겨둔 꿈,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3
  32. 정수인, 서울의 도시 공간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 2005
  33. 조우현 외 2인, 우리나라 근대 병원의 등장, 醫史學, 11호, p.p.20-48, 大韓醫史學會, 2002
  34. 한영우 외,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 서울, 푸른역사, 2006
  35. 황상익, 근대의료의 풍경, 프레시안, 서울, 2010
  36. 독립신문 1896.04.07-1899.12.04
  37. 대한매일신보 1904.07.18-1910.08.28
  38. 한성순보 1883.10.31-1884.10.09
  39. 황성신문 1898.09.05.-1910.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