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 디자인 속성이 도시 이미지 메이킹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 인지도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City Design Attributes Influencing City Image Making-Focusing on the Factor of Cognition

  • 이인수 (신안산대학교 산업디자인과, 홍익대 대학원) ;
  • 임채진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2.07.04
  • 발행 : 2012.11.25

초록

This study is written for analyzing what the most significant elements of city design attributes and factors of city image making which is composed of cognition, attractiveness and reliability are in the field of city design in Korea. The essenti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empirically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between the city design attributes and the cognition factor of city making for the better efficiency of the research, especially focusing on the abstract and general concept. Therefore, this study is not case study. This study is organized in two stages. First, the study model is framed by reappraising relevant theories, previous studies and the current city design trend. Second, the survey of the city design specialists practicing in Korea is implemented by collecting questionnaires. SPSS 12.0 for windows is being activated for correlation, reliability, validity and multi regression with stepwise is utilized to testing the hypotheses. In conclusion partially, for better city design making based on cognition, Korean city design specialist are proved to activate the physical factor including visibility, form range and lo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호, 이미지메이킹의 이론과 실제. 서울: 높은오름. 2009.
  2. 김기환, 도시이미지의 경쟁력, 의장색채심포지엄, 2005.
  3. 김정후, 매력적인 '이미지맵'을 가진 유럽의 도시들, 경희대 미디어센터, 2006.
  4. 김정후, 랜드마크 신드롬을 넘어, 조선닷컴, 2011.
  5. 김성홍, 도시건축의 새로운 상상력, 서울: 현암사. 2009.
  6. 김세용, 최강림, 도시이미지전략의 유형별 사례연구, 국토계획, 44(1), 2009.
  7. 김주연,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과 인적 서비스가 고객의 감성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7.
  8. 김호, 가치 세분화에 의한 제품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6.
  9. 길성호, 건축디자인 개념의 변화와 인지적 접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0(12): 37-44. 1994.
  10. 류기익, 랜드스케이프에 미치는 도시 디자인 속성 연구, 문화공간건축, 1984.
  11. 매일경제, Luxmen, 제15호. 2011.
  12. 박영춘, 도시의 이미지' 측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27-40. 2002.
  13. 사이언스타임즈, 고객 감동의 열쇠 '러브마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14. 오덕성, 문홍길, 도시설계, 기문당, 2000.
  15. 우대성, 도시 기념적 건축의 건립 특성 연구, 홍익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6.
  16. 유연호, 이순신 테마를 활용한 아산시의 도시마케팅 방안에 관한 연구, 이순신연구논총 7, 2006,
  17. 유재웅, 국가이미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8. 윤희정, 이혜린, 도시이미지 구축전략으로서 대표축제의 이미지 포지셔닝, 국토계획, 47(4), 2012.
  19. 이건영, 도시 디자인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국토논총, 19(3), 1984.
  20. 이정모, 어떻게 하면 기억을 잘 하는가-처리깊이와 냉엄한 인지 세계-, 성균관대 이정모 교수(심리학과) 블로그. 2011.
  21. 이준영, 도시 정체성 향상을 위한 도시이미지 분석과 구성요소 도출, 2007.
  22. 현대경제연구원, 도시브랜드가 국가경쟁력이다, 현대경제연구원, 통권 309호 2009.
  23. Bernard Leupen, Design and Analysis, 건축디자인과 분석, 김영애 외 1인역, 도서출판 국제, 2000.
  24. Mattew Carrmona (2003), PUBLIC PLACES-URBAN SPACES-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도시설계, 장소만들기 여섯 차원, 강홍빈 외 6인역, 서울: 도서출판 대가, 2009.
  25. Mark Irving, 1001 BUILDINGS YOU MUST SEE BEFORE YOU DIE,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세계 건축, 박누리 외 2인역, 마로니에북스, 2009.
  26. Jon Lang (1991), CREATIONG ARCHITECTURAL THEORY, 건축이론의 창조, 조철희 외 1인역, 서울: 도서출판 국제, 1996.
  27. Appleyard, D. The Use of City Design, Journal of Urban Design, Vol.9, No.1, 1972. pp. 3-23.
  28. Booth, P. "See Glasgow, See Culture", Cultural Policy and Urban Regeneration: Manchester Univ. Press, 1993. pp. 21-47.
  29. Boulding, K. E. The Image, Ah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65.
  30. Fishbein & Middlestadt, Attractiveness of City Image, Journal of Marketing, 1995.
  31. Kotler, P. "Country Image Determinants", Journal of Marketing, Vol. 33, 1988. pp.37-44.
  32. Lynch, K. The Image of City, Cambridge, MA., M.I.T. Press, 1960.
  33. Moore & Golledge, Determinants of City Image Making, International Design, 1976.
  34. http://www.kbs.co.kr/ 2011. 과학카페 1부-기억의 뇌 과학 2부-감정의 뇌 편도체, 208회, -기억고수들의 세 가지습관, 224회.
  35. http://www.sbs.co.kr/ 뉴스, 2012. "세계에서 가장 살기좋은 도시는 멜버른-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