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원예식물에 의한 신축 공동주택의 포름알데히드 농도저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agnosis of Formaldehyde Concentration Reduction in New Apartment House by Garden Plants

  • 투고 : 2012.05.18
  • 발행 : 2012.11.25

초록

Recent apartment house tend to be built under energy saving policy which leads to high-pressurized and high-insulated one. As a result, natural ventilation reduced and interior air pollution gets critical du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or formaldehyde from chemical interior finish.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 to investigate the reduction effect of formaldehyde density before and after by introducing 4 kinds of garden plants into the bedrooms and living room of newly built apartment house.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before garden plants introduction shows 2.7~5.2 times higher than 0.1ppm,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which requires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fter introducing 4 kinds of garden plants,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reduced 28%~80%. However, as another result of introducing garden plants, the concentration of $CO_2$ increased 5%~12% after sunset.

키워드

참고문헌

  1. 이규인, 이재학, 권민재, 발코니의 식물배치를 통한 실내공기 질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07
  2. 홍정환, 식물공장을 이용한 실내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계획계 제32권 제1호, 2012
  3. 권민재,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개선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7
  4. 이윤규, 한길원, 공동주택의 포름알데히드 농도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한국기술연구원, 2003
  5.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과학 연구원, 실내공간 공기오염 특성에 관한 연구, 2002
  6. 김윤신, 실내공기질과 건강, 1994
  7. 손기철, 실내식물이 사람을 살린다, 중앙생활사, 2005
  8. B.C.Wolverton, 웰빙 실내 공기정화식물, 문예마당, 2004
  9. 유형규, 박진철, 이언구, 실내건축자재 폼알데하이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05
  10. 박진철, 주거건축물의 실내공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회발표논문집, 2003
  11. 이윤하, 새집증후군, RPUB, 2004
  12. 함진식, 초고층 공동주택에서의 환기량 실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5권 3호, 1999
  13. 제갈영, (베스트)공기정화식물 : 사계절 천연 가습 공기정화식물 105가지, 2012
  14. 오근숙, 정근주, 임영빈, 이산화탄소 발생패턴에 따른 실내식물의 저감효과 실험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