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옥마을 지원정책을 통한 역사문화경관형성의 특성 - 중앙정부의 한옥마을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in Hanok-village Related with Government Policy - Focused on the Central Government Policy -

  • 권영상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전)국토연구원 부설 건축 도시공간연구소/국가한옥센터) ;
  • 조민선 ((전)국토연구원 부설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투고 : 2012.09.05
  • 발행 : 2012.12.25

초록

As increasing interests in Hanok, the government has recently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in Hanok villages to support them. However, there has been an aspect hindering the harmonious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Hanok villages because governmental policies have concentrated on few regions and applied to them by different standards of related government branches. Consequently,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in Hanok village related with the governmental policies and suggest a desirable policy.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subject, aim, and method in supporting 95 Hanok villages by 12 types of policies of 5 government branches. Although it is desirable that there are various ways in governmental supports to Hanok-village, repetition of the supports to same region and the disorder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design should be arbitrated. In the future, researches and policies on the method of continuous supports by the government and systematic design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should be follow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 건축문화팀(2009.4.21), "국토부, 지자체 한옥사업에 5억원 지원",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2. 국토해양부 건축문화팀(2010.2.12), "2010년 건축문화사업 닻 올려",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3. 국토해양부 건축문화팀(2010.3.24), "국토해양부, 한옥 어린이 도서관에 건립비용 지원",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4. 국토해양부 건축문화팀(2011.4.25), "국토해양부, 한옥전시장 건립비용 지원",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5. 권영상 외 2012, "한옥마을 지원정책을 통한 역사문화가로 조성방안" , 국토연구원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안양.
  6. 권영상 외 2009,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 국토연구원 부설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안양.
  7. 김기호 2006, "역사경관 관리에서 지방정부의 역할-덴버(Denver)시와 서울시의 비교", 국토계획 제41권 제5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8. 문화재청 2004, 민속마을 보존활용 및 종합정비 세부실천계획.
  9. 박현찬 외 2010, 서울특별시 역사문화경관계획, 서울특별시.
  10. 서울특별시 2010, "돈화문로제1종지구단위계획 2010" , 서울시.
  11. 서울특별시 2010, "북촌제1종지구단위게획 2010" , 서울시.
  12. 서울특별시 2010, "인사동제1종지구단위계획 2010" , 서울시.
  13. 안우성 외 2010, "경복궁 서측 제1종 지구단위계획 2010" , 서울특별시.
  14. 양하백 외 2007, "경주역사문화도시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문화체육관광부/문화재청/경상북도/경주시.
  15. 우리건축사사무소 2008, "교촌한옥마을조성 세부게획수립 및 기본설계" , 경주시.
  16. 이순자 외(2009), "백제역사문화도시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연구" , 문화체육관광부 충청남도 공주시 부여군
  17. 이왕건 외 2009, "익산고도보존계획" , 국토연구원.
  18. 전주시(2000), "전통문화구역 지구단위계획"
  19. 전주시(2002), "전주도시계획(전통문화구역 지구단위계획 구역 지정 및 지구단위계획) 결정(안) 설명서"
  20. 전주시(2006), "전통문화구역 지구단위계획 보완"
  21. 정석 외(2001), "북촌 가꾸기 기본계획" , 서울특별시
  22. 채미옥 외(2007), "고도 보존을 위한 역사문화환경 관리 방안" , 문화재청 국토연구원
  23. 채미옥 외(2011), "경주고도보존계획" , 경주시
  24.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3), "경북북부 유교문화권 관광개발계획 중간평가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
  25.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7), "유교문화권 관광개발계획 2차평가연구" , 문화체육관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