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Suspensions Using Protopectinase

Protopectinase를 이용한 포도 단세포화물의 품질 특성

  • Kim, Dong-Ho (Institute of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 Seowon University)
  • Received : 2011.10.19
  • Accepted : 2012.03.17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acerating properties from grape suspensions for which both were treated with protopectinase(PPase) and mechanical maceration stored at $4^{\circ}C$ for 28 days. Changes of macerating properties such as pH, total acidity, color, total polypheno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spensions after enzymatic hydrolysis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heating, and microscopic observation made on suspensions containing single cells. With the PPase, grapes were enzymatically macerated to separate cells to primary cell wall without damage. Also, the changes of macerating properties in grape suspension treated with PPase and after heat treatment at $80^{\circ}C$ for 30 min were more stable than those of mechanical maceration, indicating the thermal stability. Thus, the PPase treatment for grapes could be a better choice for preparing highly valuable and functional processed food as well as for prolonging preservation periods.

가공식품의 개발에 있어서 식품의 맛과 더불어 저장성, 열안정성 및 색도유지는 소비자의 기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Protopectinase는 식물조직 중엽부의 성분인 불용성 proto-pectin을 분해하여 단세포화하는 효소이다. Protopectinase를 포도에 적용시켜 포도 고유의 세포속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내 성분들을 파손없이 단세포로 유리하였다. pH, 총산 함량, 총 폴리페놀함량 및 항산화력은 기계 처리구보다 효소 처리구에서 보다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단세포 처리에 의하여 이들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Protopectinase로 처리된 포도 단세포화물을 $4^{\circ}C$에서 28일간 저장하며 색도를 관찰한 결과, 단세포 처리구에서는 기계 처리구보다 색도의 차이가 미비하였으며 기계 처리구에서는 단세포 처리구보다 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포도 단세포화물을 $8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한 후 관찰한 결과, 기계 처리구의 경우가 단세포 처리구의 경우보다 품질의 변화를 크게 나타내어 이러한 결과는 효소적 단세포화물의 열 안정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Protopectinase를 이용한 포도의 단세포화는 과실음료제조 및 원료보존에 유용하게 응용가능하며, 나아가 포도 단세포화물의 폭넓은 식품 소재화 가능성과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제조에 이용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