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Sulfur-solidified Materials using Bottom Ash Fine Aggregate

바닥재 잔골재를 활용한 유황고형화 성형물의 압축강도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홍범의 (고등기술연구원 플랜트엔지니어링센터) ;
  • 최창식 (고등기술연구원 플랜트엔지니어링센터) ;
  • 윤정호 (고등기술연구원 플랜트엔지니어링센터) ;
  • 엄민섭 (스마트론(주)) ;
  • 전신성 (스마트론(주))
  • Published : 2012.06.10

Abstract

Differently from fly ash, the bottom ash produced from thermal power generation has been treated as an industrial waste matter, and almost reclaimed or was applied with the additive of the part concrete. Bottom ash has various problems to use with the aggregate. Bottom ash is lighter than typically the sand or the gravel and it's physical properties (compressive strength etc.) is somewhat low because of high absorptance. In order to manufacture the ash concrete, we used a bottom ash as a main material and a pure sulfur as a binder. In this study, fundamental research methods that vary the grain-size of bottom ash and the ratio of sulfur vs ash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ash concrete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Bottom ash in this research which occurs from domestic 4 place power plants, was check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The compressive strength seems the result which simultaneously undergoes an influence in content of the sulfur and Bottom ash grain-size. We got the result of the maximum 92 MPa.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high result for grain size below 1.2 mm and high sulfur content.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회 중에서 약 10~15%를 차지하는 바닥재는 산업폐기물로서 대부분 매립 처리되거나 콘크리트의 첨가제로 일부 활용되고 있다. 바닥재 골재는 발생 특성상 기존의 모래나 자갈보다 가볍고, 흡수율이 높아 강도 등 물리적 성질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닥재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 할 수 있고 매립되는 바닥재의 활용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바닥재와 유황을 이용한 산업건설용 자재를 제작하기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온형 혼합기 사용에 따른 바닥재 잔골재 입도와 유황함량을 실험 변수로 국내 4개 발전사에서 발생되는 바닥재를 이용하여 고형화 성형물을 제작한 후 압축강도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압축강도는 유황의 함량, 바닥재 입도에 동시에 영향을 받는 결과를 보였으며, 최대 약 92 MPa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압축강도는 세골재와 미립분이 혼합된 1.2 mm 이하의 입도와 높은 유황함량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VCCPs활용 그린건설재료 및 실용화 기술, 지식경제부 (2011).
  2. B. Oh and B. Ju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 5 (1991).
  3. J. Lee and S. Ba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0, 101 (1998).
  4. B. Cheon, Y. Koh,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11, 99 (1995).
  5. V. M. Malhotra et. al., ACI Materials Journal, 90, 535 (1993).
  6. J. Won and Y. Le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4, 223 (2002). https://doi.org/10.4334/JKCI.2002.14.2.223
  7. S. Kim, 한국 Fly-Ash공업, 140 (2003).
  8. S. Choi, S. Lee, Y. Jung, Y. Kim, B. Oh, and M. Kim,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5, 19 (2003).
  9. J. Jung, C. Kang, G. Jung, J. Kim,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9, 813 (2007).
  10. B. Kim,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0, 73 (2006).
  11. I. Garcez and M. E. Tittlebaum, Mat. Res. Soc. Symp, Proc., Materials Research Society, 43, 128 (1985).
  12. S. Kim and S. Ah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1, 283 (2009). https://doi.org/10.4334/JKCI.2009.21.3.283
  13. J. Choi and S. Choi,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7, 393 (2007).
  14. H. Jung, Y. Kim, and J. Kim, Journal of KSEE, 30, 560 (2008).
  15. 한국표준규격,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 KS F 2504, (2007).
  16. S. Kim and T. Lee, Korean Geo-Environmental Conference, 348 (2009).
  17. 콘크리트표준시방서, 제17장 해양 콘크리트, 국토해양부 17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