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valuation on Solidification of Dredged Sediment for Recycle from Stagnant Water Area

정체성 수역 퇴적물 재활용을 위한 고형화 평가

  • Kim, Sang Hyun (Environmental Application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
  • Ahn, Tae Woong (Environmental Application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
  • Choi, I Song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Kyung Hee University) ;
  • Oh, Jong Min (Engineering department, Kyung Hee University)
  • 김상현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 안태웅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 최이송 (경희대학교 환경연구센터) ;
  • 오종민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 Received : 2011.09.27
  • Accepted : 2012.01.30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Sediment has been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a carrier in water system and an available contamination. For this reason, dredging of sediment in reservoir to remediate water quality and secure storage capacity is conducted annually. However, disposal of numerous dredged sediment is necessary as a secondary problem. Currently, in Korea, dredged sediment is classified as waste to be reclamated or recycled into sandy soil, however, they are still in trouble because of spa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 Therefore, rather than simple disposal or reuse into sandy soil,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method to manage main cause of pollution and increase the value as a resource.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 recycle technology for numerous dredged sediment produced by dredging in deteriorated reservoirs using solidificator (stabilizer). To achieve this, we will consider utilization of dredged sediment and evaluation of use possibility as natural recycle by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soil-solidificator mixture in term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mixing ratio between sediment and solidificator.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현, 정재훈, 최이송, 오종민, 2010, 고형화를 이용한 저수지 내 고 유기성 준설토의 토양개량능력 평가, 한국물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 김재진, 문경주, 노병남, 문성필, 소양섭, 1999, 제지슬러지 소각회의 시멘트 혼화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11(2).
  3. 김충은, 2011, 제철부산물을 이용하여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의 고형화/안정화, 경북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4. 농어촌연구원, 2005, 저수지 준설 환경기준 정립 및 준설토 활용방안 연구.
  5. 문경주, 김재신, 소양섭, 2001, 제지 슬러지 소각재를 이용한 소성 경량골재의 제조, 한국콘크리트학회, 13(2), 114-122.
  6. 박연진, 신원식, 최상준, 이훈하, 2010, 매립지 복토 재로의 활용을 위한 하수슬러지 내 중금속의 고형화/안정화, 대한환경공학회, 32(7), 665-675.
  7. 용인시, 2008, 기흥저수지 수질개선 기본계획 보고서.
  8. 이민석, 윤철현, 최현국, 1999, 슬래그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미치는 석회석 분말의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9. 이병원, 2007, 하수준설토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재활용 방안,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세종, 2008, 고강도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고로슬래그미분말의 분말도 종류에 따른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이수원, 2010, 고형화/안정화를 이용한 오염 준설토 내 중금속 처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이재환, 서형남, 김창률, 민경소, 1998, 제지 에쉬를 사용한 고강도 혼화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13. 주소영, 연익준, 이민희, 박준규, 김광렬, 2003, 시멘트 혼화재로서 제지슬러지 소각재의 재활용 특성, 대한위생학회지, 18(2), 34-41.
  14. 해양수산부, 2002, 준설토 재활용 방안 연구.경량 혼합토 개발을 중심으로/III.
  15. USEPA, 1994, EPA's Contaminated Sediment Management Strategy.
  16. Zhao-yin WANG and Chunhong HU, 2009, Strategies for Managing Reservoir Sedi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24, 369-384. https://doi.org/10.1016/S1001-6279(10)600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