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속도로 휴게소의 지체장애인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검토 및 개선방안 - 경부고속도로상의 휴게소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hysical Environment of Expressway Rest Areas for People with Disability - Focused on the Rest Areas along the Gyeongbu Expressway -

  • 투고 : 2011.11.27
  • 발행 : 2012.01.25

초록

The number of people utilizing expressway system in our country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and modern expressway rest area is becoming a cultural facility. At the same time, the average age of our population is rising fast and social interest toward Universal Design is increasing. Therefore, rest areas need to be equipped with barrier-free physical environment for various users irrelevant to age and physical abi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common space of expressway rest areas, find out what kind of related problems they currently have based on the finding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so various users could use the facilities comfortably without discriminational problems. The scope of this research were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 toward common space of 17 rest areas located along the Gyeongbu Expressway.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toward those rest areas are unsatisfactory. It turns out that the parties who apply the various barrier-free system to meet Universal Design principles do not consider nor understand throughly how the system works for the users who rely on it.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1. 이선우,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체, 집문당, 2009
  2. 황원경, 신경주,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 지하철역 환경 평가와 개선방안,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4 권 제4호 2002년 5월
  3. 이효창, 하미경, 공공도서관 실내 공용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5호, 2007년 10월
  4. 조영행, 부산광역시 소재 국립대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조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4호, 2008년 4월
  5. 김혁, 엄지혜, 이은수, 박영기, 연계/접근/편의성을 고려한 보행시 장애요소 개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 2007년 10월
  6. 황원경, 신경주,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 지하철역 환경 평가와 개선방안 - 지하철 역 환경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4 권 제4호, 2002년 5월
  7. 오찬옥, 지역문화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연구 - 공연전시영역의 공공서비스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2호, 2010년 4월
  8. 임진이, 대학교육 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6호, 2006년 12월
  9. 고동완, 김현철, 고속도로 휴게소의 문화공간 도입 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0권 제1호, 2000년 4월
  10. 최영오, 박승환, 최무혁, 지체장애인 편의시설의 실태조사 및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권 7호, 2004년 7월
  11. 민병아, 이연숙, 이수진,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디자인 서울거리 평가 연구 - 남대문로, 능동로, 강남대로, 천호대로의 4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6권 제12호, 2010년 12월
  12. 김정현, 민찬홍,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백화점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회지 21호, 1999년 12월
  13. 강병근, 윤영삼, 김은경, 장애인 및 노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교통광장의 실태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5권 제12호, 2009년 12월
  14. 최용석, 이도훈, 김형근, 무장애공간의 성능기준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7권 제6호, 2011 년 6월
  15. 성기창, 강병근, 김인순, 시각장애인 점자블록의 실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권 1호, 2005년 1월
  16. 강병근, 성기창, 박광재, 윤영삼, 김은경, 시각장애인 점자블록의 현황조사 및 실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권 11호, 2007년 11월
  17. 장애인 편의시설 표준상세도, 보건복지부, 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