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동.청소년 성범죄의 물리적 도시환경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Urban Built-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on Child-Abuse

  • 투고 : 2011.09.01
  • 발행 : 2012.01.25

초록

Although many researchers are mentioning about content on significance of physical environment for crime prevention, it is true there is lack of empirical researches dealing about inter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physical urban environment. This research studi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exual crime targeted on children and teenagers and physical urban environment factors with Seoul being the background where crime occurs most frequently. Percentage of children and violence showed negative interrelationship, and percentage of single parent household and rate of sex crime targeted on children and teenagers showed positive interrelationship. In contrast to the fact the rate of sex crime targeted on children and teenagers showed positive interrelationship with industrial areas. The more the number of schools the higher the rate of sex crime targeted on children and teenagers. The meaning of the major result lies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urban design which had been insufficient in conventional studies, by showing a new result of the role of urban design in of preventing sex crime targeted on children and teenagers for efficient strategies and measures of crime preventio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경찰청, 경찰백서, 2010
  2. 여성가족부, 2010년도 청소년대상 성범죄 동향분석, 대검찰청, 2010
  3. 경찰청,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방안, 2006
  4. 정경석, 공간범죄통합분석모형을 이용한 도시범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도시계획 전공 박사학위논문, 2010
  5. 정경재, 범죄발생 특성분석을 통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 D)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구로구 사례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6. 김현정, 도시 내 공원녹지공간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3대 강력범죄 중심으로, 홍익대 도시계획과 도시설계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4
  7. 허선영, 문태현, 도시공간의 범죄발생패턴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0
  8. 강준모, 도시 내 공원녹지공간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대한토목학회, 2007
  9. 김동근, 윤영진, 안건혁,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범죄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7
  10. 강석진, 이경훈,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의 활성화와 단지 내 범죄피해경험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4
  11. 김영환, 도시공간의 범죄분포특성에 관한 연구-환경범죄학의 관점에서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12. 황선영, GIS를 활용한 도시 범죄의 공간패턴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3
  13. 이경훈, 환경특성과 범죄의 두려움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모델, 대한건축학회, 1998
  14. Lanier, M. and Henry, S., Essential Criminology, Colorado: Westview Press, 2004
  15. Goldstein, Jefferey H, 환경이 범죄자를 만드는가, 교육과학사, 2002
  16. Kuo, F. E. and Sullivan, W. C., Environment and Crime in the inner city, Environment and Behavior, 2001
  17. Timothy D. Crow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 ntal Desrign-Application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Space Management Concepts-Butterworth-Heinemann, 2000
  18. Cohen, L. and Felson, M.,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A Routine Activities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79
  19. Thomas, W.I. and Znaniecki, F., The Polosh Peasant in Europe and America, Boston: Gorgam, 1920
  20. http://stat.seoul.go.kr/ (서울특별시 통계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