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외부공간(公共外部空間)의 조성(造成)과 공공성 문제(公共性 問題) - 광화문광장에 대한 일간신문과 전문지 기사에 기초하여 -

Issues of Publicness in the Public Exterior Space

  • 투고 : 2011.11.03
  • 발행 : 2012.02.25

초록

The study starts with a question about the authenticity in the "design of public space" or "civic design" that flourishes among current local governments in Korea 2000s, and suggests "programming of public space" as an alternative. For the purpose it defines the meaning of public space and meaning of design that translated in different term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design. As an indepth analysis Gwanghwamun Square was choosen and newspaper articles and profestional critics in journals. In conclusion, the study emphasize the necessity of sound programming of public space instead of adhering to design that current political campaign insist. Public space should be improved and managed to accept the fundamental needs of public.

키워드

참고문헌

  1. 민병아 외, "서울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9.8
  2. 민현식, "스토리텔링을 통한 옛길 가꾸기 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2
  3. 박경립 기획, 특집 "건축과 언론" 건축 2006.6, 대한건축학회
  4. 서울시, 디자인 서울 가이드라인, 2008
  5. 손장원 외, "문화성을 지향한 도시가로 보행자공간의 행위 유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2.10
  6. 신중진 외, "대규모 복합용도개발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외 부공간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2.3
  7. 이재상 외, "공공건축 광장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9.10.23.-24
  8. 일본 건설성, 공공공간의 디자인(일본어), 다이세이, 1994, 면6
  9. 장성준, "지자체청사의 건축경향과 공공성 문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1.7
  10. 정은일 외, "도시광장의 장소성에서 나타난 도시정체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1.4
  11. 특집 "광화문광장, 그 한계와 의미", 공간 2009.9: 신현돈, 이홍주, "광화문광장은 광화문거리의 잠재력을 다시 사려낼 것"; 정욱주, "광장은 개방감과 도시성을 경험하기 위해 찾는 곳"; 한동수, "역사와 전통은 시간의 누적"; 승효상, "우리나라 건축의 목적은 건물이 아닌 공간 형성"
  12. 특집 "우리에게 광장은 무엇인가?", 공간 2009.10: 김명인, "광장공포증이 만든 가짜광장"; 홍태영, "광화문광장, 빈 공간의 정치학"; 최도인, "광화문광장, 아름다움과 쓰임새에 대하여"; 정기용, "광장, 도시에 대한 근원적 물음"; 이영준, "국가상징 거리와 백남준"
  13. 특집 "광화문 광장", 환경과조경 2009.9: 조경작품; 광화문광장 집담회
  14. 기사 "광화문광장", Concept 2009.9
  15. 특집 "도시건축의 공공디자인" 건축 2009.5, 건축학회: 김소라, "공공미술과 공공디자인, 그리고 도시"; 유창균, "공공디자인 분야의 활성화와 경관계획의 실현"
  16. 특집 "공공건축 도시디자인의 성과와 과제" 건축 2010.5, 건축학회: 구자훈, "도시설계적 관점에서 본 공공디자인 정책의 평가"; 조경진, "공공디자인, 그 성공의 조건"
  17. 특집 "건축과 언론, 건축과 저널리즘" 건축 2006.6: 박경립, "특집을 기획하며", 김광현, "건축과 저널리즘, 또는 건축저널 의 힘", 남기준, "이미지에 묻혀버린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