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능형 도시의 3 Screen Play를 지원하는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환경에 관한 연구

The Multi-modal Interface Environment for 3 Screen Play of The Smart City

  • 김미연 (서울디지털대학교 디지털디자인학과)
  • 투고 : 2011.05.12
  • 발행 : 2012.03.25

초록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high-tech development, the city is transforming into a new form filled with information and real-time consumption of Web 3.0-based inform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consumer trend. Reasonable consumption, which is beyond simple consumption.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individuals such as leisure, lifestyle, and environment has emerged as the new trend. As online real-time manner, and the tendency to identify the information they need in a short time through real-time search and to consume products, service, and experience real-timely has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build an information environment to provide an interface that meets the aesthetic sensibilities of the users, is easy to us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is easy to access anytime and anywhere in the upcoming near future in an intelligent city. Ultimately, the purpose is to find ways to appropriately use the multi-modal interface for building the information environment of the intelligent city that enables 3 Screen Play, which is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activity that connects people to the built environment. Through the multi-modal interfa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igent cities, this study purposes the smooth distribution of informatio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강성중 외, 공간에서의 인터랙션 디자인 개념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3호(통권 50호), p.235, 2005
  2.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보성각, p.271, 2001에서 재구성
  3. 김미연, 지능형 도시의 생활지원을 위한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모델 연구,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박사논문, pp.31-34, 2009
  4. 김예진 외, 경험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4호, 2006
  5. 김윤화, 3 스크린 플레이(3 Screen Play) 서비스 추진형황,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통신정책 연구보고서, 21권 11호(통권 464호), p.79에서 재구성, 2009
  6. 김정현, 인터페이스 관점에서 미디어 공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p.50, 2008
  7. 신병곤, U-환경과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디지털타임즈, 2008. 4. 13일자
  8. 안세열 외, 멀티모달 상황인지 인터페이스의 최신 기술동향, Telecommunication Review, 제18권 3호, p.372, 2008
  9. 이상일(2009), 통신사업자들의 IT 분야 신사업 전략,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주간기술동향, 통권1379호, p.36
  10. 정동영, '증강현실'이 가져올 미래 변화, SERI 경영노트, 제46호, pp.1-2, 2010
  11. 한수연, 비일상적 유희공간에 관한 연구(전시공간의 비일상적 체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pp.18-19, 2006
  12. 홍제훈, 미디어 컨버젼스 기반 콘텐츠 연구: 3 Screen 콘텐츠의 기기 간 이동 및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논문, p.45, 2010
  13. A. Jaimes et al.(2007), Multimodal Human Computer Interaction: A Survey, Computer Vision and Image Understanding, Vol.108, pp.116-134 https://doi.org/10.1016/j.cviu.2006.10.019
  14. Chris R. Vaccaro, Triple Threat: Nielsen's 3-Screen Strategy, 2009. 11(http://en-us.nielsen.com/)
  15. Richard Buchanan et al., Design Seminar I, Carnegy Mellon University, 2001
  16. 2010 Dentsu "Cross Media Development Project" Team, Cross Media Planning Services (http://www.dentsu.com/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