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70-80년대 대구의 시장아파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lex Apartment in Marketplace' in Daegu, 1970-80's

  • 권선영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상지이엔에이건축사사무소) ;
  • 조재모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투고 : 2011.05.05
  • 발행 : 2012.04.25

초록

This study aim to record historical meanings of 'complex apartment in Marketplace' which was built in 1970-80's in Daegu, by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the emergence, development and ranging from the destruction process. A complex apartment in Marketplace in 1970-80's is valuable to study as the residential type which had built to figure out urban problem and we can find out how trying to solve the problem as the type of construction for housing at that time a variety of architectural concerns and solutions in the way. Also it is an important case in local modern housing history 'traditional 2-story structure for commerce' leading into 'Apartment with lower-floor stores', while in line with regional trends and features that reflect the progress achieved independent housing types.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승일, 대구의 고층집합 주거지역 형성과정과 분화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2. 장성수, 1960-1970년대 한국 아파트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3. 박진희, 1960-70년대 초 일자형 집합주거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 강상훈, 일제강점기 근대시설의 모더니즘 수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5. 장남수, 중정형 집합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1960-70년대 초 국내의 중정형 아파트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 최윤영, 1960-1970년대 서울의 '맨션아파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7. 강승현, 1960-1970년대 서울 상가아파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이상옥, 한국 재래시장의 변천과 유통근대화에 관한 연구 ,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9. 손상락, 대구시 아파트단지의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10. 정승일, 주식회사 청구, 제3차 한일경제세미나, '대구의 아파트 개발과 주거문제', 1990.
  11. 정승일, 박병수, 대구 동부아파트의 지역적 전개, 사회문화 연구, pp.207-229 1982.
  12. 손광제, 이중우, 대구지역 아파트 평면유형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권 8호 통권 82호, 1995.
  13. 이윤정, 정준현, 손광제, 대구지역 아파트 건축개념의 변화에 관한 연구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2005.
  14. 이정수, 1960년대 중층아파트의 '근대성'표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권 6호 통권 80호, 1995.
  15. 심우갑, 강상훈, 여상진, 일제강점기 아파트 건축에 관한 연 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9호 통권 167호, 2002.
  16. 공동주택연구회, 한국 공통주택계획의 역사, 세진사, 2007.
  17. 박용환, 한국근대주거론, 기문당, 2010.
  18. 전남일 외, 한국 주거의 사회사, 돌베게, 2009.
  19. 전남일 외, 한국 주거의 미시사, 돌베게, 2009.
  20. 전남일, 한국 주거의 공간사, 돌베게, 2010.
  21. 발레리 줄레조, 아파트공화국, 후마니타스, 2009.
  22. 장림종, 박진희, 대한민국 아파트 발굴사, 효형출판, 2009.
  23. 대구시사편찬위원회, 대구시사, 1995.
  24. 장흥섭, 대구전통시장, 과거.현재.미래,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0.
  25. 조병찬, 한국시장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4.
  26. 대구광역시 중구 사회산업국 지역경제과, 대구맨션마켓 관계철(BA0039629), 국가기록원, 1971.
  27. 대구광역시 중구 사회산업국 지역경제과, 동부시장관계철 (BA0039633), 국가기록원, 1971.
  28. 대구광역시 중구 사회산업국 지역경제과, 남문시장관계철1 (BA0039644), 국가기록원, 1971.
  29. 대구광역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평화시장 시설결정 및 지적 승인(BA0071514), 국가기록원, 1973.
  30. 대구광역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효목시장 시설결정 (BA0071849), 국가기록원, 1979.
  31. 대구광역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산격종합시장 시설결정 및 시행허가(BA0071990), 국가기록원,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