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사업의 지속가능성 실천항목 적용여부 비교 - 시범사업의 선정시기, 사업대상, 사업규모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Practice Items of Sustainability for the Pilot Project 'Making the Livable City' - Focusing on the Selection Time, the Subject, and the Size of the Project -

  • 김묘정 (울산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투고 : 2011.12.01
  • 발행 : 2012.04.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level of the application on sustainability and the missing parts of the government's pilot project 'Livable City Making'. The study analysed the difference of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n the application of the practice items of sustainability by the selection time, the subject, and the size of the project cas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application on the practice items of sustainability at the using energy and resource was improving in the recently-selected projects. Also, the projects applied the difference factors on the sustainability; environment, social-cultur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Third, the downtown and business area applied the sustainability in connection with the traffic system and the urban economy. The housing area applied the susainability in connection with the making healthy village environmentally and socially. Forth, the urban size projects tend to apply the practice items of sustainability on the land use plan, the traffic system, and urban economy. The village size projects tend to apply the practice items of sustainability on the pre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ecosystem, the making bio-tope, the creating community plac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 2005/2007.
  2. 건설교통부,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추진계획, 2006.
  3.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pp.18-65, 2007.
  4. 김경배, 서구의 지속가능한 도시건축 이념과 실천사례, '건축' 제47권 12호 대한건축학회, pp.34-39, 2003.
  5. 김인섭, 이제인,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도시환경계획, 형설출판사, 2003,
  6. 도시연대, 주민참여를 통한 한평공원 만들기, 건설교통부 도시정책팀, 서울, 2007.
  7. 동아일보, 2009/02/25일자.
  8. 레스터 W. 말브래스 저, 노병철, 박지운 옮김, 지속가능한 사회,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의 이해, 인간사랑, 2001.
  9. 목정훈, 주거지 환경개선을 위한 마을만들기 활성화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10. 안상욱, 문준경, 최승희,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시범사업의 특성 분석 연구-07-08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도시사업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9 춘계산학협동 학술대회 논문집, pp.127-134, 2009.
  11. 이민선, 정진주, 최효승, 살고싶은 도시만들기사업의 실태 조사연구, 한국논촌건축학회 제9권 3호, pp.63-72, 2007.
  12. 이창호, 정보리,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사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6권 8호, pp.245-255, 2010.
  13. 유수훈, 조동우, 지역특성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공동주택의 영향인자분석에 관한 정문가 의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3호, pp.15-26, 2004.
  14. 오원진, 생태마을 조성방안에 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5. 이규인, 세계의 지속가능한 도시주거, 서울;발언, 2004.
  16. 이규인, 생태도시 생태주거, 서울:발언, 2006.
  17. 이규인, 주거단지계획의 환경적 지속성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 설정방안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9권 제1호, pp.191-199, 2003.
  18. 이명규, 주민참여속에 마을만들기의 사례와 시사점, 건축 0709, pp.46-47, 2007.
  19. 이상문, 구자훈, 이규인, 제3기 신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방향과 과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6월호, pp.3-14, 2004.
  20. Edwards, B. & Turrent, D., Sustainable Housing Principles and Practice, E & FN Spon, New York. 2000.
  21. Dutton, John A., New American Urbanism -Reforming the suburban metropolis-, Skira/Seuil. New York. 2000.
  22. Pitts, A., Planning and design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Profit, Architectural Press;Oxford. 2004.
  23. Farr, D., Sustainable Urbanism;Urban design with nature, John Wiley & Sons Inc. 2007.
  24. Partners for Livable Communities Staff, The Livable City: Revitalizing Urban Communities, McGraw-Hill, Inc. 2000.
  25. UN, The Habitat Agenda(II), 1996.
  26. http://www.un.or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