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 한옥주거지의 1970년 이후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지 구조와 한옥 유형의 요인

Factors of Structure of Residence and Hanok Type Involved in the Transformation of Hanok Residence in Seoul since 1970

  • 백선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
  • 안건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 투고 : 2012.01.05
  • 발행 : 2012.04.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 of Hanok residences and the factors involved in the transformations. For this requirement, the data which were obtained by the disused land registration maps, the aerial photographs, the land register and the registered building data of 1,398 lots in 12 Hanok residence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gree of totality and connectivity of road of districts outside a fortress is bigger than districts inside a fortress because of Land Readjustment Project. Second, 65.5% of Hanok disappeared and 11.2% of lots decreased between 1970 and 2011. Third, the factors involved in the demolition of Hanok were 2 factors of road(degree of connectivity and width), 2 factors of lot(area and the length of access to road) and 3 factors of Hanok type(shape, configuration and approach). Fourth, the factors involved in transformation of lot were 3 factors of lot(area, degree of standardization and the length of access to road) and 2 factors of Hanok type(shape and configuratio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1. 건축물대장 및 토지대장 (http://www.onnara.go.kr/)
  2. 서울시 항공사진
  3. 서울시 종로구, 성북구, 동대문구 폐지적도
  4. 다음지도 (http://local.daum.net/map)
  5. 임창복,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돌베개, 2011
  6. 전남일, 한국 주거의 공간사, 돌베개, 2010.
  7. 정석, 서울시 한옥주거지 실태 및 보전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8. 김영수, 돈암지구(1940-1960) 도시한옥 주거지의 도시조직, 서울학연구, 22, 2004.
  9. 박기범, 최찬환, 건축제도 변화에 따른 일반주거지 도시조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10), 2003.
  10. 박기범, 최찬환, 강남 단독주택지역 변화의 법제적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7), 2005.
  11. 박병주, 주택지의 획지 및 가구의 적정규모 형상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22(2), 1987.
  12. 박인애, 서울시 다세대주택의 성장과 주거지 변화 특성,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지리교육전공, 2005.
  13. 박종현, 권영, 이채성, 일제강점기 신도시 공간구조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7), 2006.
  14. 박훈, 정재용, 역사도시의 도시조직 특성과 가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5), 2009.
  15. 백선영외, 안건혁, 1970년 이후 서울 한옥밀집지구내 한옥 멸실의 특징과 물리적 조건,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12), 2011a.
  16. 백선영, 안건혁, 20세기 초 서울 필지분할의 과정과 물리적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1), 2011b.
  17. 백선영, 안건혁, 서울시 한옥밀집지구의 가치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5), 2009.
  18. 백선영, 안건혁, 역사문화지역의 가치평가를 위한 기준설정 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2007.
  19. 손세관, 신진희, 서울 주거지역내 주거블록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4), 2003.
  20. 송인호, 도시형 한옥의 유형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건축설계전공 박사학위논문, 1990.
  21. 양승우,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조직 유형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박사학위논문, 1994.
  22. 이경찬, 필지체계를 통해서 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도시공학전공 박사학위논문, 1992.
  23. 장재일, 단독주택지의 도시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001.
  24. 전병권, 서울시 단독주택지의 변화와 주거건축유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건축설계전공 박사학위논문, 2004.
  25. 정재용, 박훈, 도시공간의 특성에 따른 단독주택지의 유형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2), 2009.
  26. 정재용, 박훈, 서울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2), 2006.
  27. 홍인옥, 서울시 단독주택지역의 변화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