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rtual Topology Control System for Evaluating Semi-infrastructured Wireless Community Networks

준-인프라 기반 무선 커뮤니티 네트워크 시험을 위한 가상 토폴로지 제어 시스템

  • 강남희 (덕성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 김영한 (숭실대학교 IT대학 정보통신전자공학부)
  • Received : 2011.12.02
  • Accepted : 2012.02.10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Community network i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where heterogeneous devices can acces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any time and at any space to share information. To do so, mobile devices are required to be self-configured even in absence of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Semi-infrastructured wireless ad-hoc network is a promising solution to meet with such a requirement. This paper proposes the VTC(virtual topology coordinator) system as an evaluation tool for examining network protocols that are intended to be deployed in the semi-infrastructured ad-hoc networks. VTC emulates multi-hops wireless network topology virtually using a mechanism of selective receiving MAC frame in a small area, where only a single hop communication is available. VTC system cannot consider all properties introduced in real wireless network, but do more wireless properties than verification through simulation.

커뮤니티 네트워크는 이기종(heterogeneous) 노드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말한다. 이를 위해 이동 노드들은 사전에 구성된 통신 인프라 시설에 의존하지 않고 자가 구성될 수 있어야 하고 노드의 이동성으로 인해 변경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준-인프라 기반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통신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준-인프라기반 애드-혹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실험에 용이한 평가 도구인 VTC(virtual topology coordinator) 시스템을 제안한다. VTC는 모든 통신장비간 단일 홉 통신만이 가능한 작은 공간에서도 선택적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 수신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다중 홉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가상으로 구성하도록 해준다. VTC 시스템은 실제의 무선 특성을 모두 반영하기는 어려우나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보다는 실 특성을 보다 다양하게 반영시킬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N. Kang, I. Park, Y. Kim, "Ubiquitous Zone Networking Technologies for Multi-hop 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IWSOS 2006, LNCS 4124, pp. 233-235, Springer-Verlag 2006.
  2. 강남희, 김영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구조 및 라우팅 기술," Telecommunications Review 16(4), pp. 591-602, August 2006.
  3. 유정훈, 조정호, 권오주, 박귀순, "Mobile WiMAX 기반의 전술이동통신체계 테스트베드 성능분석," 한국통신학회지 26(3), pp. 9-15, February 2009.
  4. I. Akyildiz, X. Wang, W. Wang, "Wireless mesh networks: a survey, Computer Networks," pp. 445-487, January 2005.
  5. H. Wang, B. Crilly, W. Zhao, C. Autry and S. Swank, "Implementing mobile ad hoc networking (MANET) over legacy tactical radio links," In Proc. IEEE Military Comm. Conf., MILCOM 2007, pp. 1-7 October 2007.
  6. M. Conti, S. Giordano, "Multihop Ad Hoc Networking: The Reality,"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pp. 88-95 April 2007.
  7. J. Tourrilhes, "Wireless Extensions for Linux," http://www.hpl.hp.com/personal/Jean_Tourrilhes/, January 1997.
  8. N. Kang, Y. Kim, J. Kwak, "H2O: Hierarchically Optimized Hybrid Routing Strategies for Multihop Wireless Networks," LNCS 5200, Springer-Verlag, pp. 771-780, 2008.
  9. I. Chakeres, C. Perkins, "Dynamic MANET On-demand (DYMO) Routing," Internet Draft (draft-ietf-manet-dymo-21), July 2010.
  10. T. Clausen, et.al., "Optimized Link State Routing Protocol (OLSR), RFC 3626," October 2003.
  11. 신성권, 김두용, "Active PDP Discovery에 기반한 정책기반 MANET 관리시스템 구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10, no11, pp.3176-3182, 2009.
  12. 조대균, 박석천, "무선 데이터서비스 품질 측정 도구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 12호, pp. 109-116, 2011년
  13. 배현수, 김보경, 이원열, 허석렬, 이완직,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AODV 라우팅 기법,"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 9권, 제 12호, pp. 13-20, 201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