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lit Jade Earring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출토 결상이식(玦狀耳飾) 소고

  • Received : 2012.09.30
  • Accepted : 2012.11.13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Jade ornaments, which include slit earrings, scoop-shaped objects and tubular beads have been extensively identified in Northeast Asia, such as Korea, China, Japan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Among them slit earrings are distributed in the whole area of Northeast Asia. Although this object shows the typological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excavated region in detail, all of them are characterised by the slit on the centre of jade ring. The buried context and the shape of this object suggest that this artefact was the earring; thus it is named to 'slit earring'. Most of slit earrings of the Neolithic Age concentrate in Northeast China and the areas south of the Yangtze River,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However, unfortunately, Slit earrings, which were produced in the tradition of the incipient and early phases of the Neolithic Age in Northeast Asia, have not been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number of slit earrings reported so far is eight, and especially until the 20th century, almost none was reported with its exact excavation location and only three of them are known as excavated through surface surveys and preliminary excavations. However, from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onwards, the number of discovered slit earrings is increasing. Particularly, five pieces of this object uncovered in the 21st century are discovered in the official excavation; thus the exact archaeological context such as buried locations and chronologies could be estimated. By considering the buried context, slit earrings are associated with stone axes, which were produced in the incipient and early phase of the Neolithic Age in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considering the number of unearthed objects is a few, it could be postulate that slit earring was the artefact that only a few persons, who had a special role in the society, could possess. However, slit jade earrings that have been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are extremely low in their number compared to the cases of its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and the researches on this subject have not been much conducted in Korea. Therefore, it is my supposition that slit earrings, which have been discovered in the Korean Peninsula, might be the imported item from the nearby areas. Particularly, the Southern Coast was closely connected with Japanese Islands and the Eastern Coast was interchanged with Northeast China or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Considering that excavations and researches on the Neolithic remains in the Korean Peninsula have not been sufficiently and actively conducted, it could be expected that the further investigations and researches will reveal the sufficient quantities of slit earrings in near future.

한반도를 비롯한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에서는 신석기시대 조 전기부터 결상이식, 비상수식(匕狀垂飾), 관옥(管玉) 등 장식용 옥기가 출토되고 있으며 이중 결상이식(?狀耳飾)은 이들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출토되고 있다. 각 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는 결상이식은 비록 세부적인 외형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대체로 모두 환형(環形)의 고리에 중간에 절개부분(절구(缺口))이 있는 것이 특징으로, 고고학적 출토위치나 형태상으로 판단할 때 이식(耳飾)의 기능을 했을 것으로 판단되어 결상이식으로 칭하여지는 유물이다. 신석기시대 결상이식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중국 동북지역 및 장강(長江) 이남지역, 일본열도 등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동아시아 신석기시대 조 전기 문화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결상이식은 한반도에서 출토된 예가 많지 않아 지금까지 보고된 수는 모두 8건에 해당한다. 특히 2000년대까지는 그 출토 위치가 정확한 결상이식은 그 보고사례가 전무하며, 지표채집이나 시굴조사 등을 통해 출토된 3건이 전해져 왔을 뿐이다. 그러나 최근 2000년대에 들어와 그 발견 예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00년대 이후 발견된 5건은 모두 정식 발굴조사를 통해 그 출토위치나 사용 시대를 가늠할 수 있다. 이들의 출토 정황으로 판단해 볼 때, 한반도 출토 결상이식은 신석기시대 조기~전기 사이 석부(石斧)와 공반출토된다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출토량이 많지 않은 것으로 보아 신석기시대 당시 특수한 역할을 했던 일부 사람들만이 향유할 수 있었던 유물로 판단된다. 한편 지금까지 발견된 결상이식은 주변지역으로부터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남해의 경우는 일본열도와, 동해의 경우에는 중국 동북지역이나 러시아 연해주지역과의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반도에서 출토되고 있는 결상이식은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에 비해 그 수적인 면에서 볼 때 극히 적은 수에 해당하며, 이에 대한 국내 연구도 거의 진행된 바가 없었다. 현재까지 한반도 내 신석기유적에 대한 발굴조사 및 연구가 다른 시기에 비해 충분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더 많은 조사와 연구를 통해 결상이식에 대한 충분한 자료 확보도 기대해 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