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inking in Terms of East-West Contacts through Spreading Process of Sarmathia-Pattened Scabbard on Tillya-Tepe Site in Afghanistan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의 사르마티아(Sarmathia)식 검집 패용 방식의 전개 과정으로 본 동서교섭

  • Received : 2012.09.15
  • Accepted : 2012.11.20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patterns of activities of the Sarmathians though in a humble measure, with a focus on the regions where the Sarmathian sheaths spreaded. One of the main weapons the mounted nomads like the Scythias, the Sarmathians, and the Alans used at war was a spear. Though complementary, a sword was the most convenient and appropriate weapon when fighting at a near distance, fallen from the horse to the ground. The Sarmathian swords continued the tradition of the Akinakes which the Scythias or the Persians used, but those of the Sarmathians showed some advances in terms of the easiness with which a sword was drawn out from a sheath, and the way the sheaths were worn to parts of a human body. It turns out that the Sarmathian sheaths, which were designed for the people to draw swords easily, having the sheaths attached to thighs through 4 bumps, spread extensively from Pazyryk, Altai, to South Siberia, Bactria, Parthia and Rome. The most noteworthy out of all the Sarmathian sheaths were the ones that were excavated from the 4th tomb in Tillatepe, Afghanistan which belonged to the region of Bactria. The owner of the fourth tomb of Tilla-tepe whose region was under the control of Kushan Dynasty at that time, was buried wearing Sarmathian swords, and regarded as a big shot in the region of Bactria which was also under the governance of Kushan Dynasty. The fact that the owner of the tomb wore two swords suggests that there had been active exchange between Bactria and Sarmathia. It seemed that the reason why the Sarmathian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xcha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might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ir role of supplying Chinese goods to Silk Road. That's why we are interested in how the copper mirrors of Han Dynasty, decoration beads like melon-type beads, crystal beads and goldring articulated beads, and the artifacts of South China which produced silks were excavated in the northern steppe route where the Sarmathians actively worked. Our study have established that the eye beads discovered in Sarmathian tomb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around the 1st century B.C. were reprocessed in China, and then imported to Sarmathia again. We should note the Huns as a medium between the Sarmathians and the South China which were far apart from each other. Thus gold-ring articulated beads which were spread out mainly across the South China has been discovered in the Huns' remains. On the other hand, between 2nd century B.C. and 2nd century A.D. which were main periods of the Sarmathians, it was considered that the traffic route connecting the steppe route and the South China might be West-South silk road which started from Yunnan, passed through Myanmar, Pakistan, and Afghanistan, and then went into the east of India. The West-south Silk road is presumed to have been used by nomadic tribes who wanted to get the goods from South China before the Oasis route was activated by the Han Dynasty's policy of managing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최근 북방유목민족인 사르마티아에 관한 고고학적 자료들이 증가하면서 사르마티아인들의 활동 양상과 그 실체들이 조금씩 규명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르마티아인들의 동서 교역의 활동 양상을 사르마티아식 검집의 확산 지역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르마티아인들의 검은 스키타이나 페르시아인들이 사용한 아키나케스(Akinakes)의 계보를 잇는 것이지만 손잡이나 패용 방식에서 손쉽게 칼을 뺄 수 있도록 변화되었다. 즉 양 측면에 달린 4개 돌기에 끈으로 연결한 검집을 허벅지에 부착시키는 패용 구조로 변한 것이다. 사르마티아식 검은 기원전 5세기 파지리크시기 알타이 지역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 사르마티아인들의 활동 중심지인 남시베리아, 박트리아, 파르티아, 로마로 확산되었다. 이 글에서는 동서 교섭의 요충지인 박트리아지역에 속하는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 4호묘에서 출토된 검집에 관심을 두었다. 사르마티아식 검을 패용한 채 매장되었던 틸랴 테페 4호묘의 묘주는 당시 쿠샨왕조의 지배하에 있었던 박트리아에서 상당한 위치의 인물로 파악된다. 묘주가 2자루의 사르마티아식 검을 패용하고 있었던 것은 박트리아에 사르마티아의 영향이 상당이 수용된 사실을 의미한다. 사르마티아인들이 동서교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국산 물자를 실크로드에 공급하였던 이들의 역할과도 관련이 있다. 이에 사르마티아인들이 활동한 북방 초원 루트에 중국 한대 동경, 메론형 구슬, 수정구슬 등의 장식구슬, 금환연접구슬 등 중국 특히 비단이 생산되었던 남중국의 공예품들이 출토되는 경위에 관심을 가졌다. 모자이크 구슬은 당시 남중국 그리고 사르마티아와의 관계에 의한 것으로 살펴보았다. 거리적으로 먼 사르마티아와 남중국이 교섭할 수 있었던 중간 매체로는 흉노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하여 흉노의 유적에서 남중국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금환연접구슬이 발견되는 점을 참고하였다. 남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한 금환연접구슬이나 모자이크구슬이 아프카니스탄의 틸랴 테페 유적에는 없는 반면 같은 초원길로 연결되는 사르마티아 유적이나 흉노의 몽골 유적에서 등장하는 점이 흥미로운 것이다. 이는 남중국과 사르마티아, 흉노와의 연결 루트를 상정하게 한다. 한편 사르마티아인들의 중심연대인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2세기 사이 초원루트와 남중국을 잇는 교통로로는 운남에서 미안마를 지나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지나 인도 동부로 들어가는 서남실크로드로 판단된다. 1세기 동서교섭의 루트에는 북방 초원 루트, 남해 루트, 오아시스 루트 등 다양한 루트가 존재한다. 이들 루트들은 운반, 집산되는 물자의 특성이나 당시 정치적 관계에 의해 다양하게 사용되고 형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인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남중국을 잇는 최단거리의 길인 서남루트가 북방 유목민들인 사르마티아인들에 의해 사용되고 개척된 상황을 살펴본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