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Traditional Weaving Crafts through the Case of Ojiya-Chijimi and Echigo-Jofu in Japan

일본 '오지야치지미·에치고죠후(小千谷縮·越後上布)'의 사례를 통해 본 전통 직물공예의 지속 가능성

  • Lee, Chae 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12.09.28
  • Accepted : 2012.11.15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raditional weaving crafts has the history, environment and lifestyle of country where the country is located. Thus it has been an regional industry because it has the representation of country due to a long history. However it has faced a threat which comes from lifestyle changes. Therefore a law on the protection of traditional weaving crafts was established and took action to protect weaving crafts. It was played importantly as protection system on weaving crafts. But traditional weaving crafts was a regional industry from long time ago, accordingly we need to think as not only cultural heritage but also crafts industry. This study will demonstrate how sustainable as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crafts industry with case of Ojiya-chijimi and Echigo-jofu (Japanese traditional weaving crafts).

전통 직물공예는 소재한 지역의 역사와 환경, 생활양식을 반영하여 전승되어 왔다. 일정 지역에서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오면서 지역적 대표성을 얻었으며, 이를 통해서 지역산업으로서 기능해 왔다. 그러나 생활양식의 변화 등 사회 경제 문화적 요인으로 전통 직물공예는 위기의 상황에 처하였고, 이에 따라 정부차원의 보호조치가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보호조치가 문화재 지정을 통한 '전통'에 대한 보전으로, 이는 전통 직물공예를 만드는 제작 기술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문화재 지정은 급속히 변화되는 전통 직물공예의 환경 변화에 있어서 해당 기술을 보호하고 다음 세대로 전승시켜나가는데 중요한 보호조치로서 기능하였다. 그렇지만 전통 직물공예는 문화재이기 이전에 지역산업으로서 오래전부터 지역경제에 이바지해왔다. 이 같은 점에서 문화재 지정을 통한 보호만으로는 대처하기 힘든 부분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공예기술의 특성상 제조기술과 재료, 도구의 발달은 불가피하므로 이에 맞춰 '전통' 이라는 요건을 제시하고 이를 준수할 필요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글에서는 일본 오지야치지미 에치고죠후의 사례를 통해서 현 시점에서 전통 직물공예가 문화재 지정과 전통 공예산업으로서 어떻게 지속 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