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남해 충렬사 이충무공묘비의 재질특성, 손상도 평가 및 풍화과정 해석

Material Characteristics, Damage Evaluation and Weathering Mechanism on the Yi Chungmugong Tombstone of Chunglyolsa in Namhae, Korea

  • 조지현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조영훈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선덕 (서진문화유산(주))
  • Cho, Ji Hyun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 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o, Young Hoon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 Duk (Seoji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Co. Ltd.)
  • 투고 : 2012.03.08
  • 심사 : 2012.05.25
  • 발행 : 2012.06.30

초록

이충무공묘비는 경상남도 남해군에 위치한 조선시대 비석으로 사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묘비의 비대석과 비신은 $0.2({\times}10^{-3}SI\;unit)$ 이하의 좁은 대자율범위를 나타냈으며, 표면 단청으로 암종구분이 불가능했던 이수도 동일한 대자율 빈도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모두 유사한 성질을 갖는 암석으로 판단된다. 이 비석의 측면에서는 조립질의 잡사암과 세립질 사암의 경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후면에서는 미세층리가 관찰된다. 비신의 전면과 후면을 중심으로 박리(후면 8.2%), 박락(후면 10.2%), 입상분해(후면 28.1%) 및 변색(전면 53.5%)이 집중 분포하였다. 또한 비신의 표면층-입상분해층-박락층을 경계로 무기오염물을 분석한 결과, 표면층에서는 Ca, S 및 Cl이 검출되었다. 이 성분들은 입상분해층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농도를 보였고 박락층에서는 표면 오염물이 거의 측정되지 않고 암석 구성원소인 Fe, K 등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충무공묘비의 입상분해와 박리 박락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탈염 및 표면 강화 등 보존처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금석문으로서의 가치를 보전해야 한다.

The tombstone of Yi Chungmugong in the Joseon Dynasty located Namhae, Gyeongnam is consisted of sandstone. The Bisin and Bijwa of the tombstone have narrow range of magnetic value less than $0.2({\times}10^{-3}SI\;unit)$ and the Isu covered pigment on surface also has same magnetic susceptibility range.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all tombstone have similar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ide of the tombstone appeared fine-grained sandstone to coarse-grained graywacke boundary clearly and back of tombstone observed lamination. Especially deterioration type is concentrated in front and back of the tombstone blistering (8.2% of back), scaling (10.2% of back), granular disintegration (28.1% of back) and discoloration (53.5% of front). Results of contaminants analysis, the front of the Bisin separated in 3 type of surface - granular disintegration-scaling. Among this area, surface detected Ca, S and Cl in high density, but these contaminants elements have more lower detect density from surface to granular disintegration. By contrast, on scaling area, these components are almost not detected, but Fe, K consisted of rock forming elements are detected. It is necessary to conservation and treatment of Yi Chungmugong tombstone in continuously, and salt cleaning on surface also needed. So through activity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epigraph preserved for their wort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