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Methods of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Landscape Design of Korea and China -Focused on Seoul and Beijing Olympic Park-

한국과 중국의 현대조경설계에서 전통문화의 적용방법 - 서울·북경 올림픽 공원을 중심으로 -

  • Liu, Bing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
  • Shim, Joon-Young (Dept. of Environmental Garde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Wang, Qiao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tiy) ;
  • Lee, Shi-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aichai University)
  • 유빙 (배재대학교 대학원) ;
  • 심준영 (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 왕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
  •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2.04.25
  • Accepted : 2012.08.24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Based on the Olympic Park in Seoul and Beijing, respectively, a analys is of the two successful examples of the designers in a traditional way to design a unique culture of a traditional folk culture. Rooted in traditional culture to create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by studying abroad, a good way to design a unique work not to pursue the international trend has been displayed now. Based on the above two parks of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analysis and studying the literature, I summarized the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landscape application methods as follows:Firstly,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 Secondly, the method can be divided into four steps, namely, to preserve, to reproduce, to imitate, and to learn from. 1. A reservation is divided into functional retention and conversion of the prototype. 2. Reproduction is also divided into two types, first is the site of reproduction and the reproduction of literature or legend. 3. Simulation includes three types, the original use, changed use and re-creation. Imitation. 4. Reference. In a garden design, the other art forms or cultural phenomena reference are always allowed and encouraged.

본 연구는 서울 올림픽공원과 북경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한 중의 현대조경설계에서 전통문화의 접근방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연구대상지의 전통문화의 이용방법을 분석한 결과, 현대조경설계에서 전통문화에 접근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깊이 있는 전통문화의 이해가 필요하다. 대규모 조경설계의 경우 많은 경우 자기나라의 고유 특성을 표현해야 하므로 자국을 대표할 수 있는 문화를 잘 알아야한다. 이런 문화는 모든 사람들이 공유할만한 가치를 지닌, 세계에 보여줄 수 있는 문화들이다. 둘째, 전통문화와 향토지식을 존중한다. 전통문화와 향토지식을 존중하고 전통적인 경험을 받아들인다. 생활환경에서 정신적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신의 환경에 대해 인지하는 것이 외지인이 아는 것보다 더 심오한 깊이를 가진다. 그래서 설계시 현지인과 문화전통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 또한 합리적으로 지역적 환경을 이용하고, 입지의 자연조건에 순응해야 한다. 입지외의 생태요소는 입지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과 작용을 주므로 설계는 입지만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 위의 내용을 구현하는 방법은 대체적으로 네 가지가 있는데 보존, 재현, 모방, 반영으로 구분되어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