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mployment Circumstances and Employment Status of Temporary Librarians

비정규직 사서의 근무환경 및 고용실태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3.11.09
  • Accepted : 2013.12.11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temporary employees in LIS fields, due to current trends of restructuring, automation, complete personnel systems, and complete wage systems. This research, therefore, conducted a survey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and working environment of the temporary posts in LIS fields, in order to understand and direct the employment prospects of potential librarians.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working period of more than half of temporary librarians are between 1-3 years. The total working period as a temporary librarian, including former experiences in their career, were evenly distributed between 1-5 years. Among those, being temporary often persisted, as 32% of temporary librarians stayed in their temporary status for more than 5 years. Second, temporary librarians perceived themselves as working the same hours as regular librarians, having independent or assistant tasks to regular librarians, and having a neutral or larger amount of tasks than regular librarians. Third, temporary librarians are employed and contracted from the work place, generally having contracts of less than 2 years or an open contract, which shows a serious level of job instability.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proper remuneration for work of equal value, professional contractors, the supplementation of the total wage system and the number of public employees in the system as well as changing temporary positions to permanent positions and so on.

구조조정, 업무자동화, 정원제 및 총액임금제 등으로 인해 비정규직 사서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사서들의 근무 현황 및 고용환경을 설문조사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미래사서의 진로를 개선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비정규직 사서들의 절반 이상이 '1년 이상 3년 미만'의 기간을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전 직장과 현 직장을 포함한 비정규직으로 근무한 총 근무기간은 1년부터 5년 이상까지 고루 분포되어 있었으며, 5년 이상이 32.0%로 나타나 비정규직 신분의 고착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비정규직 사서는 정규직과 동일한 근무시간에 근무하고 동일한 독립업무나 정규직의 보조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업무량은 보통 또는 많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정규직 사서는 대부분 근무하는 직장에서 직접 채용하고 계약하고 있고, 계약 단위는 2년 미만과 원할 때까지에 집중되어 있어 고용불안이 심각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일노동 동일임금제도 도입, 전문계약직제 도입, 총액임금제 및 공무원총정원제 보완, 사서들의 정규직화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2013. 문헌정보학전공취업자 비정규직 취업률. [online]. [cited 2013.6.7]. .
  2.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online]. [cited 2013.6.20]. .
  3. 김경미. 2001. 대학도서관의 비정규직 고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4. 김보영. 2004. 비정규직 사서교사의 일상과 사회의 의식개혁. 圖書館文化, 45(5):24-29.
  5. 김수진, 김유승. 2012. 운영방식과 고용형태에 따른 공공도서관 사서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3(4):261-282.
  6. 김지홍. 2004. 비정규직 사서의 취업현황과 해결방안. 圖書館文化, 45(5): 30-42.
  7. 김춘진. 2009. 2009 국정감사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분야 질의서. [online]. [cited 2013.5.4]..
  8. 도서관운동연구회 편집팀. 1999. 긴급진단! 대학도서관의 조직개편. 도서관운동, 5(2):23-24.
  9. 민주당 김춘진의원 홈페이지. 2013. 국정감사자료. [online]. [cited 2013.5.4]..
  10. 박정숙. 2005. 비정규직 사서가 인식한 학교도서관 현장문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1. 박종화. 2004. 고용형태가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12. 양재한. 2012. 경상남도 학교비정규직 사서 고용안정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217-237.
  13. 이종문. 2012. 문헌정보학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 분석 연구: K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125-139.
  14. 조선일보. 2013. 한국근로자 年113만명 '강제해고' 1년內 재취업하는 비율 43% 남짓. 5월 14일 A12면.
  15. 최민정, 이지연. 2006. 고용형태에 따른 사서의직무태도와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3: 101-108.
  16. 파인낸셜뉴스. 2013. 정부-지자체, 총액인건비제 논란 재연. 5월 24일.
  17. 통계청. 2013. 2013년 3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online].[cited 2013.5.4]. .
  18. Glisson, C. and M. Durick. 1988.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3(1): 61-81. https://doi.org/10.2307/2392855
  19. OECD. 2013. Korea Should Boost Support for Laid-off Workers. Paris: OECD.
  20. Steers, R. M. 1977.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2(1):45-56.

Cited by

  1.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인력 문제의 상황과 맥락 vol.45, pp.2, 2013, https://doi.org/10.16981/kliss.45.2.201406.205
  2. 도서관 및 유관기관 취업 사서의 고용실태 조사 연구 vol.48, pp.1, 2013, https://doi.org/10.16981/kliss.48.20170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