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마트 환경에서 공간의 가변적 확장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Extension of Variable Space in Smart Environment

  • 박정식 (두원공과대학 건축디자인과) ;
  • 조택연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발행 : 2013.06.25

초록

Despite many efforts to change our understanding of space through several revolutions in human history, space remained largely a physical notion. Howeve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new dimensions of social interactions and its incorporation into the building space allowed for these progressive concepts of space to manifest itself. Smart construction that combines aspects of physical spa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will embrace various programs of space required in Modern architecture. Ubiquitous computing in the new paradigm of space can push our utilization of space beyond its temporal and physical limits. Expanding our study of space to the possibility of flexibilty combined with the enhancement of space through the overlay of intelligent networks between events and the physical space by the interaction of the digital space is aimed Since the notion of space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s exceeds the temporal-spatial dimension,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space in combination with Intelligent Networks is fruitful. Therefore my research aims to study the possibility that space can be extend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and digital spa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수 지음, 도시, 소통과 교류의장, 삼성경제 연구소, 2007
  2. 고일두 지음, 유비쿼터스 건축, 도시공간 건축도시공간 연구소, 2010
  3. 대한건축학회, 건축공간론, 대한건축학회, 2010
  4. 니콜라스 니그로폰테, 백욱인 옮김, 디지털이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5. Michael Fox&Miles Kemp, 남수현 옮김, 인터액티브 건축공간, 스페이스타임, 2010
  6. 이제현,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사회, 커뮤티케이션 북스, 2004
  7. 이희진, 정보기술은 시간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삼성경제연구소, 2006
  8. 하원규, 김동환, 최남희 공저,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 전자신문사, 2003
  9. 김경우,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실태와 발전에 관한연구, 한국컴퓨터 정보학회, 제9권, 4호, 2004
  10. 김동환, 유비쿼터스 공간의 경제와 경영전략, Telecommunication Review, 제13권, 1호, 2003
  11. 김형준, 유비쿼터스 공간의 물리적 특성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24권, 2호, 2008
  12. 이용환, 전유창, 김성욱, 현대건축공간에 나타난 중첩의 시간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제30권, 제1호(통권 제54호)
  13. 윤주희, 김개천, 노마드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유연성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0권 3호 86호, 2011
  14. 조택연, 유비쿼터스 공간에서의 하이퍼 매스건축,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5. Batty, M, Virtual Geography, Futures, Vol 29, Nos 4/5, 1997
  16. Azuma, R et al, Recent Advances in Augmented Reality,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ilication, Vol.21 no. 6,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