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통량 예측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

A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Carbon Dioxide Emission Using the Prediction of Traffic Volume - A Case of the Daegu -

  • 이상우 (경북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학과) ;
  • 이승욱 (경북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학과) ;
  • 전규엽 (제주대학교 건축학부) ;
  • 홍원화 (경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발행 : 2013.06.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grasp of carbon dioxide emissions on road traffic which is main structure of the city in order to design constant spatial structure in green town against rapidly changing climate. For this study, First, we calculated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with Tier 3 method of IPCC G/L which counted VKT on each type of car at main roads in Daegu city. Second, we forecasted the traffic with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in order to reflect carbon dioxide emissions on the road on current traffic degree. Third, we visualized the chart of road traffic carbon dioxide emissions that divided carbon dioxide emissions that seized the characters of carbon dioxide emissions by predicted traffic ratio. As the result, road traffic carbon dioxide emissions in Daegu city is about 1,406,281 $TonCO_2$ eq/yr and high emission areas are Buk-gu, Dalseo-gu and Suseong-gu.

키워드

참고문헌

  1. 성현곤 외, 도시계획 수립지침에서의 교통부문 개정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총서, 2011.
  2. 김인현, 탄소배출량과 도시형태요소 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사례로, 한양대학교 공학박사논문, 2011.
  3. 김유진, 압축도시의 토지이용특성이 도로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교통수단 분담률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공학석사논문, 2012.
  4. 김호용,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권 4호, 2010.
  5. 김호용,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시설 입지 정확성 향상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권 2호, 2010.
  6. 최종근, 지구통계학, (주)시그마프레스, 2007.
  7. 최진호, GOSAT으로 추적된 동북아시아 이산화탄소 유동방향의 계절별 비교평가, 경북대학교 공학석사논문 2011.
  8. 고광희, 국가교통 DB를 활용한 지역단위 도로교통 온실가스 배출 인벤토리 구축, 동의대학교 공학석사논문, 2012.
  9. 김진식, 서울시 수송부문 온실가스의 상향식 인벤토리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공학석사논문, 2012.
  10. 김기동 외, 배출량 산정밥법에 따른 지자체 도로수송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비교,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27권 제4호, 2011.
  11. 정연식 외, Tier 3 방법론을 활용한 BIS 사업의 $CO_2$ 저감효과 분석 -대전-청주 간 광역 BIS 사업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1권 제3D호, p.p. 375-381, 2011.
  12. 환경관리공단, 2006IPCC Guideline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적용을 위한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지침, 2009.
  13. 장성원, 산정방법에 따른 부산광역시 도로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 경성대학교 공학 석사논문, 2011.
  14. Isaaks E. H. and Srivastava R. M, An Introduction to Applied Geostatistics, New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5. Johnston, K, Ver Hoef, Krivoruch, J.M, and Lucas, N, Using ArcGIS Spatial Analyst, ESRI Press, 2001.
  16. 박노욱, 시계열 환경변수 분포도 작성 및 불확실성 모델링: 미세먼지(PM10) 농도 분포도 작성 사례연구, 한국지구과학회, 제32권, 제3호, p.p. 249-264,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