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축물 전과정 $CO_2$평가와 친환경건축물인증을 위한 BIM 친환경 표준라이브러리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 건축자재수준의 정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M-Based Standard Library for $LCCO_2$ Assessment an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 Centered on the Building Material Level -

  • 발행 : 2013.06.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LCCO_2$ from the default library and identify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through : 1) separating the composite materials by applying unit quantity calculation formula through attributive information DB method 2) adding the basic attributive information of the material needed for building energy simulation and the information relating to green buildings. 3) applying sustainable standard library to on a apartment unit plan modeling to pursue the $CO_2$ emission evaluation of the material production in $LCCO_2$ assessment and extract green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the schedule of BIM authoring tool.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건축물, 2011.8
  2. 금원석, 태성호, 건축자재 품목코드를 이용한 BIM모델링의 전과정 $CO_2$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2권 1호, 2012
  3. 백정훈 외 4인, 건축물 계획단계 $LCCO_2$ 평가시스템의 필요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3호, 2011
  4. 오태현, EU의 기후변화 대응정책과 시사점, 2008.1
  5. 이병호 외 2인, 건축물 전과정 $CO_2$ 평가를 위한 BIM 라이브러리 개발,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제12권 2호, 2012
  6. 조대구 외 3인, BIM 라이브러리 및 컨텐츠 교환 체계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0권 1호, 2010
  7. 홍성욱 외 1인, BIM기반 친환경건축물 환경성능평가를 위한 표준라이브러리 개발, 대한건축학회 2012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2.10.25
  8. 태성호 외 3인, 공동주택의 전 생애주기 이산화탄소($LCCO_2$) 간이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8호, 2012
  9. 조달청 공사코드운영시스템 (www.spacesyntax.com)
  10. 사단법인 빌딩스마트협회코리아 (www.buildingsmart.or.kr)
  11. 국가 LCI 데이터베이스정보망 (www.edp.or.kr)
  12. 국토교통부, 녹색건축 인증기준, 201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