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거공간의 조명환경 평가구조분석 및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ng Structure Analysis and the Image Evaluation for the Light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ial Spaces

  • 발행 : 2013.07.25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occupants evaluate the lighting environment and which components of the lighting environment affect the occupants, in order to plan the lighting environment reflecting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the occupants. Therefore, the purpose is to draw the planning condition of the lighting environment considering the sensitivity of the occupant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ing environment and the emo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For this purpose, we make the evaluating structure model for the lighting environment of users by using the interview research methods led by questions. A total of 16 rating vocabularies were derived such as warm cozy delicate luxurious soft comfortable neat bright clear tidy harmonious various wide refined fresh stable ;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ing environment components, they were classified 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ghting -which is evaluated by the range for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ing and the brightness of the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ing-applied type -which is evaluated by the lighting layout due to the placement of Illumination source, illumination methods by the light distribution, the architectural lighting, and the direction of the illumination sour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ing installation -which is evaluated by the number, illuminated places, and locations of the lighting application and the motion control method of the lighting fixtures. Also, based on theses analysis results, we induce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image evaluation structure for the lighting environment through the evaluation by each vocabulary for the evaluating targets of the lighting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지철근, 우리나라 주택 조명에 대한 실태연구, 대한건축학회회지, 1977
  2. 이선영,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구조에 관한 연구,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집, 17(2), 2003. 3
  3. 이선영, 김상진, 주택조명의 심리적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9), 2001. 9
  4. 이선영, 김상진, 고한우,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춘계학술대회, 2002
  5. 김수정, 이성미, 주거공간조명의 건축화에 관한 연구 -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인테리어잡지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 2011. 2
  6. 한국표준과학원, 주거/사무환경 제시 및 측정시스템 개발, 교육과학기술부 연구보고서, 2002
  7. 이선영,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3
  8. 정영붕, 감성공학기반기술개발사업;생활공간 시각환경의 감성평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0
  9. 임오연, 아파트 외장색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충남대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1999
  10. 윤갑근, 정사희, 이종영, 레퍼토리 그리드 발전 수법을 적용한 건축물 외관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 소규모 전시 건축물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1
  11. 이정우, 박세범, 임성준, Repertory Grid 방법을 활용하여 디지털콘텐츠 특성 도출,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발표, 2007
  12. 신세호, 공동주택에서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논문, 2008
  13. 서호원, 주거 공간에서 조도 기준의 최근 동향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9
  14. 이진숙, 최종문, 김소연, 박지영, 공동주택의 실내공간별 조명 적용현황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12), 2010. 12
  15. 나영신, 공동주택 실내공간의 인공조명환경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2003. 12
  16. 한명흠, 오인욱, 공간환경의 감성평가척도에 관한 연구-인테리어 공간 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9(4), 20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