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물리적 개선과 비 물리적 활동간 비교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영향요인 실증분석 - 못골시장('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

Analyzing the Recognition Effect of Revitalization Through the Classification Between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Improvement on the Traditional Market - Focused on Motgol Traditional Market From a Consumers Point of View in Su-Won -

  • 박청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장한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구자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발행 : 2013.05.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 research that affecting factor of the revitalization in the traditional marke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 recognition survey, for measuring the level of revitalization, targeting the consumer and merchant in Research destination that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improvement are coexisting. Then, has set up a research model analyze the factors of revitalization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it shows that physical revitalization factors affects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Although both physical revitalization factors and non-physical revitalization factors. and so the facilities and activitie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activities have more high-impact relationships. The affecting factors, for improving image, reliability and utility rate of traditional market, are the facilities of pedestrian's approach, convenience, information, secure and operational support and activities of various advertising methods, events-festival and The adversely affecting factors are turned out as a variety of payment methods, exchanging with local residents and childrens. The result means that physical revitaliz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activities is relatively well utilized, but it is necessary to effort and Consideration for exchanging with local residents and childrens and variety of payment method as non-physical revitalization factors.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찬호, 대도시의 공간구조측면에서 재래시장의 기능에 관한연구, 국토계획, 32(3), 1994
  2. 최주영, 최무영, 서울시 일반재래시장 구성요소의 시대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4(3), 1998
  3. 진양교, 홍윤순, 황학동 시장의 역사적 연원, 한국정원학회지, 18(1), 2000
  4. 정성훈, 잠실 새마을시장일대 도시형태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도시설계전공, 2001
  5. 오덕성, 김정태, 재래시장의 재정비방안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5(1), 1999
  6. 박홍석,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개발유형 설정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7(2), 1997
  7. 최주영, 양동양, 대도시 일반재래시장의 실태 및 재개발 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3), 1997
  8. 이상준, 전통시장 유형별 활성화 방안 연구 : 충청남도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도시설계, 11(3), 2010
  9. 김재형, 권태문,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건축계획적 연구 : 인천시 중구 신포시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2), 2001
  10. 김광호 외 3인, 재래시장 환경개선사업과 아케이드 도입 실태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1), 2003
  11. 정금호, 연안 수산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간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3), 2007
  12. 신지연 외 2인, 재래시장의 재건축을 위한 건축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5(1), 2005
  13. 김세범 외 3인, 전주지역의 재래시장(중소상가) 활성화방안, 마케팅과학연구, 6권, 2000
  14. 김진덕, 청주시 상권변모와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3(1), 2000
  15. 송부용, 권성오, 창원지역 재래시장 활성화와 지원방안, 마케팅과학연구, 7권, 2001
  16. 조병택, 익산시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상업교육연구, 9권, 2004
  17. 박근수, 축제상품화를 통한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 대전 동구 중앙시장을 사례로, 사회과학연구, 27권, 2005
  18. 류다혜,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유형화에 따른 전략적 기획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 문전성시 정책사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2
  19. 박지애,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영양시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20. 이민상, 재래시장 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양평전통시장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2009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9
  21. 시장경영진흥원, 2010년도 전통시장 활성화수준 평가 분석, 2010
  22. 김찬동, 환경개선사업 시행 후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5
  23. 전용식, 재래시장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충남 홍성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05
  24. 홍경구, 이용자의 관점에서 재래시장 환경개선사업이 시장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분석 : 영천시 영천 공설시장을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11) 2008
  25. 홍경구, 중소도시 전통시장 현대화사업의 시간적 변화에 대한 효과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3(4), 2012
  26. 허재완, 재래시장 환경개선사업의 시장활성화효과 실증연구 : 광명재래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연구, 14권, 2009
  27. 시장과문화컨설팅단,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평가보고서, 2010
  28. 문화체육관광부 시장과문화컨설팅단,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사업의 성과분석 및 향후발전방향 수립연구, 2011
  29. (사)한국지역활성화포럼, 못골시장 이야기바구니, 2009
  30. (사)한국지역활성화포럼, 상인주도 문화만들기를 위한 매뉴얼북, 2010
  31. 정금호,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전통시장의 보행만족도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4(4), 2012
  32. 서구원, 민형철, 복합문화공간형 유통매장에서의 체험과 소비자 태도, 서울도시연구, 10(4), 2009
  33. 김유오 외 2인, 전통시장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 화재보험 가입실태를 중심으로, 유통과학연구, 9(4), 2011
  34. 김유오 외 2인,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품권 유통방안에 관한 소고: 전통시장 상품권 중심으로, 유통과학연구, 7(4), 2009
  35. 박수경 외 2인, 체험요소(4Es)가 체험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가을호, 2007
  36. 손선미, 체험지향성과 관광축제이벤트의 프로그램, 물리적 요소, 방문의도의 관계, 이벤트컨벤션연구, 3(1), 2007
  37. 박광희,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고찰, Journal of Living Science Research, 23권, 1997
  38. Chin, W. W.,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22(1), 1998a
  39. Chin, W. W.,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G. A. Marcoulides(Ed.),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London: Lawrence Erlbaum, 1998b
  40. Mathwick, C., Malhotra, N., and Rigdon, E., Experiential value: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 the catalog and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Journal of Retailing, 77(1), 2001
  41. Sands, S., Oppewal, H., and Beverland, M., The influence of in-store experiential events on shopping value perceptions and shopping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Memphis, TN, October 27, 2007
  42. Tsaur, S., Chiu, Y., Wang, C., The visitors behavioral consequences of experiential marketing: An empirical study on Taipei Zoo, Journal of Travel and Tourism Marketing, 21(1), 2006
  43. Cole, S. T. and Chancellor, H. C., Examining the festival attributes that impact visitor experienc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Vol.15, 2009
  44. Teo, H.H., Wei, K.K., and Benbasat, I., Predicting Intention to Adopt Interorganizational Linkages: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MIS Quarterly, 27(1),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