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ructural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ulture, Work-Family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tel Employees

일-가족 문화, 일-가족 균형, 그리고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호텔 직원을 대상으로

  • Choi, Hyun-Jung (Tourism Division, Dept. of Hotel Management, Baekseok University)
  • 최현정 (백석대학교 관광학부 호텔경영전공)
  • Received : 2013.10.24
  • Accepted : 2013.12.15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ulture, work-family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Korean hotel employee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goal,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ndertaken using SPSS(18.0) and AMOS(18.0). The results showed that 'managerial suppor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work-family balance, and 'fewer negative career consequence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work-family bala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Hence, in order to enhance employee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tmosphere in which employees can take advantage of family-friendly policies without any worry about the future disadvantages should be built. Also, management has to consider employees' work-family balance to be important and needs to develop various policies to keep employees' work and family st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호텔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가족 문화, 일-가족 균형 그리고 조직몰입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확인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공분산 구조 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18.0)과 AMOS(18.0)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일-가족 문화 요인 중 '경영적 지원'이 일-가족 균형에 긍정적이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불이익 최소화'가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이며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가족 균형이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서적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해서는 직원들이 차후 불이익에 대한 걱정 없이 가정친화정책을 활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적극적으로 조성되어야 할 것이며, 경영진은 직원들의 직장과 가정생활의 조화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직원의 가정생활의 안정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배려함으로써 직원들의 직장과 가정생활의 양립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