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ooking methods with Various Heating Apparat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가열기구에 따른 조리방법이 소고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Jeon, Ki-Hong (Div. of Convergence Technolog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Kwon, Ki-Hyun (Div. of Convergence Technolog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Kim, Eun-Mi (Div. of Convergence Technolog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Kim, Young-Boong (Div. of Convergence Technolog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Sohn, Dong-In (Food Research Institute, CJ Cheiljedang) ;
  • Choi, Jin-Young (Dept. of Food and Nutritional Sciences, Hanbuk University)
  • 전기홍 (한국식품연구원 융합기술연구본부) ;
  • 권기현 (한국식품연구원 융합기술연구본부) ;
  • 김은미 (한국식품연구원 융합기술연구본부) ;
  • 김영붕 (한국식품연구원 융합기술연구본부) ;
  • 손동인 ((주)CJ제일제당 식품연구소) ;
  • 최진영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3.10.23
  • Accepted : 2013.12.15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showed the chemico-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beef loin and ribs with various kinds of cooking apparatus and methods like pan heating, boiling, grilling, steaming, cooking heating, charcoal heating and double layer pan heating. Double layer pan filled with Phase Change Materials(PCM) heating was also tested. Heating time of beef loin and ribs by oven heating was the longest as 55.5 and 25.7 min. Cooking loss of beef loin and ribs were 40.49%, 27.98% each and showed biggest in charcoal heating(p<0.05). In the chemical analysis, grilling resulted in the highest protein contents of 29.3% in the loin and double layer pan heating had 28.6% in the ribs. In the loin, 20.3% of crude fat was the highest in the double layer pan heating, and 21.9% of crude fat of ribs in the PCM heating(p<0.05). In the test of shearing forces, double layer pan heating had the lowest result of $9.14kg/cm^2$ in the loin and $7.03kg/cm^2$ in the ribs. In the 9 point-scale sensory evaluation, PCM treatment showed the best result of 7.67 in the juiciness of loin and single layer pan heating and grilling treatment had the highest score of 7.00 in the ribs. Loin in the PCM heating had 7.11 and ribs in the grilling had 7.13, showing the best in overall acceptability. With this experiments, we could find the chemico-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eef loin and ribs were affected by various cooking methods.

본 연구는 가열방법에 따른 소고기 등심과 갈비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구이용 잠열재 처리 이중팬과 잠열재 처리하지 않은 이중팬을 제작하였고 이를 기존 사용하는 가열방법인 팬구이, 삶기, 전기그릴, 찌기, 오븐구이 및 숯불구이와 비교하였다. 소고기 등심과 갈비의 가열시간을 측정한 결과 55.5분, 25.7분으로 오븐구이 처리구에서 가장 길게 나타났다. 가열감량은 숯불구이 처리구에서 등심과 갈비 각각 40.49%, 27.98%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조단백질은 등심의 경우 전기그릴 처리구에서 29.3%로 가장 높았고 갈비는 28.6%로 이중팬구이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조지방 함량은 등심의 경우 이중팬구이 처리구에서 20.3%, 갈비는 잠열재 처리구에서 2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전단력은 등심의 경우 이중팬구이 처리구에서 $9.14kg/cm^2$, 갈비는 찌기 처리구에서 $7.03kg/cm^2$으로 가장 낮았다. 9점 척도 관능평가 결과 다즙성의 경우 등심은 잠열재 처리구에서 7.67점으로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았고 갈비는 팬구이와 전기그릴 처리구에서 7.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등심은 잠열재 처리구에서 7.11점, 갈비는 전기그릴 처리구에서 7.13점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다양한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소고기 등심과 갈비를 가열하였을 때 조리방법에 따라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