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the prosthodontics curriculum in Korean dental schools and graduate dental schools

치과대학 및 치과전문 대학원의 보철학 교과과정 실태 조사 및 개선 방향에 대한 고찰

  • Kim, Jee-Hwan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Lee, Sojin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Park, Young-Bum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Chung, Moon-Kyu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김지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 이소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 박영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 정문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Received : 2013.03.12
  • Accepted : 2013.04.05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Purpose: Prosthodontics education of Korean dental schools is developing under liberal regu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each school. Diversity in the current environment and condition for each school make it impossible to apply the same and uniform education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validate the status of the 2012 prosthodontics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n dental school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survey was completed by all the 11 dental schools in South Korea. Results: The number of students, age, sex, credits for prosthodontics lecture and practice courses, evaluation method before senior students' clinical practice, modalities for minimum requirement for graduation, beginning and finishing timing of clinical practice and faculty personnel involved in the education varied among the dental schools. Conclusion: High-quality educators leading an expanded teaching personnel are required, education hours must be increased and efficient curriculum must be organized to improve the prosthodontics education.

연구 목적: 대한민국 치과대학의 보철학 교육은 자율적 규제를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각각의 특성에 맞게 발전 되어 가고 있다. 주어진 환경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이며 동일한 교육 교과과정을 갖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국내 2012년 현재 치과대학에서의 보철학 교육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보철학 교과과정의 현 실태를 조사하여 향후 보철학 교육의 개선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전국 11개의 치과대학 보철학 교실에 전달 된 설문지에 대한 회신 내용을 근거로 조사 되었다. 결과:학생 수, 평균 연령, 남녀 성비, 보철학 강의 및 실습 학점, 4학년 학생이 환자를 보기 전에 시행되는 평가 방법, 졸업을 위한 최소 요구 조건, 임상 교육의 시작과 종료시점, 교육에 참여하는 인력이 학교마다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치과 대학 보철학 교과과정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학생들에게 더욱 도움이 되는 보철 임상 교육을 위해서는 양질의 교육자가 주체가 되는 교육 인력의 확충, 교육 시간의 증가, 효율적인 교과과정 확립 등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Keywords

Cited by

  1. 가상현실 기반의 치아발치 수기 훈련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 vol.18, pp.1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