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Effects of Pink Noise on Brain Wave Concentration Index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Intelligence

Pink Noise가 개인별 특성에 따라 뇌파 집중지표에 미치는 영향과 다중지능과의 관계

  • 신성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학과) ;
  • 심준영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학과)
  • Received : 2013.08.06
  • Accepted : 2013.11.05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is study sorted scor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intelligence by sex, handle, blood type and age through previous questionnaire with 462 adult males and females. Then electrode was attached to prefrontal lobes Fp1 and Fp2 with EEG measuring system and changes of concentration between no stimulation state and pure pink noise stimulation and their relations to multiple intelligence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variance, the mean concentration of all subjec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ink noise stimulation compared to no stimul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eft-hander, type A blood, and group in their thirties except for gender. Concentration in pink noise state strengthened the relation to spatial intelligence and made negative correlations with musical intelligence compared to no stimulation stat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uld be reflected on using pink noise for improving concentration.

이 연구는 성인 남녀 462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검사를 통해 성별, 손잡이, 혈액형, 연령 등의 개인별 특성 집단과 다중지능 유형별 점수를 분류하였다. 그런 다음 뇌파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전두엽 부위인 Fp1과 Fp2 부위에 측정 전극을 부착하고 무자극 상태와 순수한 Pink noise 청각자극 상태에서의 집중력의 변화와 다중지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무자극에 비해 Pink noise 자극 시 대상자 전체의 평균 집중력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개인별 특성에서는 남녀 성별을 제외한 왼손잡이, A형, 30대 집단에서 집중력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무자극에 비해 Pink noise 상태의 집중력은 공간적 지능과의 관계가 더욱 강화되었고, 음악적 지능과는 음적 상관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집중력 향상을 위한 Pink noise 활용 시 개인별 특성을 반영해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