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Standard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Cementitious Scagliola using Statistical Research on Generation Amount of Waste Stone and Waste Stone Powder

우리나라 폐석재, 폐석분 발생량 통계 조사 및 이를 활용한 시멘트계 인조대리석 내·외장재 개발에 따른 성능검증 시험 표준안 개발

  • Park, Wan-Goo (Seoul Tech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 Kim, Su-Ryon (BK Waterproofing and Technology Co., LTD.) ;
  • Heo, Neung-Hoe (Seoul Tech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 An, Ki-Won (Seoul Tech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 Oh, Sang-Keun (Seoul Tech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박완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수연 ((주)비케이방수방식연구소) ;
  • 허능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공학과) ;
  • 안기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공학과) ;
  • 오상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3.02.18
  • Accepted : 2013.03.11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Waste Stone and Waste Stone Powder are recycling some cyclic aggregate only. And the greater part of Waste Stone and Waste Stone Powder are reclaining or neglecting.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is proceeding development of cementitious scagliola using waste stone and waste stone powder. However, quality standard for cementitious scagliola using waste stone and waste stone powder has not been established. So cementitious scagliola using waste stone and waste stone powder has problem of quality assurance. Therefore in this study, developed standard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cementitious scagliola using waste stone and waste stone powder through survey of international standard.

화강석의 채취 또는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석재 및 폐석분의 경우는 일부 순환골재로만 재활용되고 있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는 대부분 불법 매립되거나, 무단방치 되어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고 있다. 이와 같이 방치되고 있는 폐석재 및 폐석분을 활용해 시멘트계 인조대리석 내 외장패널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를 검증할 수 있는 품질 기준(표준)이 부재하여 성능검증 및 품질확보에 대한 문제점이 남아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폐석재, 폐석분(순환자원)을 활용한 인조 대리석 패널의 개발에 따른 품질(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성능검증 기준(표준)안 마련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폐석재 및 폐석분의 배출 현황 자료 조사를 통하여 기초 통계 자료를 마련하고, 국내외 관련 규격 조사를 통하여 폐석재 및 폐석분을 활용한 인조대리석이 갖추어야 할 기본 성능 검증 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폐석재 및 폐석분을 활용한 내 외장용 시멘트계 인조대리석 품질검증 표준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