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Restaurant Visit Intention and Information Credibility Based on e-WOM for Restaurants and Directions of Replies

온라인에서의 레스토랑 구전정보 작성자와 구전평가 방향에 따른 레스토랑 방문의도와 정보 신뢰도 차이 연구

  • Song, Min-Kyung (Dept. Culinary & Foodservice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 Yoon, Hye-Hyun (Dept. Culinary.Service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송민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 윤혜현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Received : 2012.02.28
  • Accepted : 2013.03.16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e arrival and expansion of the Internet has extended consumers' options and has provided consumers' opportunities to offer their own consumption. Through a laboratory experiment, we investigated questions: 1) do consumers trust the accuracy of reviews posted by anonymous reviewers or experts and 2) do readers trust negative and positive reviews equally? The messages were created as a form of 4 scenarios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v.16.0)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Our results from a 2(positive reviews vs. negative reviews)*2(consumer vs. expert) experiment design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review and experts' one in restaurant visit intention(p<.001) and information credibility(p<.001). Also, between positive review and negative on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staurant visit intention(p<.001) and information credibility(p<.01). Other resul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인터넷이 발달하고 대중화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지출에 앞서 온라인 내 타인의 정보를 반영하고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학 실험을 통해, 레스토랑 방문 계획을 가진 소비자들이 인터넷에서 1) 정보의 작성자가 누구인지에 따라(일반 익명의 소비자 또는 전문가), 2) 정보의 방향성에 따라(긍정적인 것 또는 부정적인 것) 레스토랑 방문의도와 정보의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에 부합되도록 4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SPSS WIN(v.1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t-test등으로 분석하였다. 2(긍정적 정보vs. 부정적 정보)*2(소비자 작성 정보 vs. 전문가 작성 정보) 실험디자인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 작성자에 따른 레스토랑 방문의도(p<.001)와 정보의 신뢰정도(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또한 각각 긍정적 정보와 부정적 정보를 읽은 실험참가자 사이에 레스토랑 방문의도(p<.001)와 정보의 신뢰도(p<.01)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밖의 연구 결과와 한계점,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