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view of the Neurocognitive Mechanisms of Number Sense

수 감각의 인지신경학적 기반에 관한 연구 개관

  • Received : 2013.08.30
  • Accepted : 2013.09.24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Human and animals are born with an intuitive ability to determine approximate numerosity. This ability is termed approximate number sense (hereafter, number sense). Evolutionarily, number sense is thought to be an essential ability for hunting, gathering and survival.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children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y have impaired number sense.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with more accurate number sense have higher mathematical achievement.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number sense provide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gnition. Recently, researchers have been examining whether number sense training can lead to enhancement i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changes in brain activity in relation to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umerosity which basically represents discontinuous quantity is expected to be closely related to continuous quantity such as representations of space and time. A theory of magnitude (ATOM) states that processing of number, space and time is based on a common magnitude system in the posterior parietal cortex, especially the intraparietal sulcus. The present paper introduces current literature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study of the common magnitude system.

사람과 동물은 수량(numerosity)의 대략적인 많고 적음에 대한 직관적 판단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 이를 대략적 수 감각(이하, 수 감각, number sense)이라 한다. 수 감각은 오래 전부터 동물의 수렵, 채취, 사냥 및 생존에 필수적인 능력으로 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수학 발달 장애를 가진 아동은 수 감각이 정상적인 아동에 비해 매우 둔감하다. 반대로, 수 감각이 민감한 사람들은 수학적 성취도가 더 높다. 이러한 결과는 생애 초기부터 발달하는 수 감각 표상의 정확도가 학령기 이후 숫자에 기반한 수학적 인지 발달의 근간이 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최근 연구들은 수 감각 훈련을 통해 수학 성취도의 향상과 수학 관련 뇌 기능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있다. 한편, 수량은 불연속적인 양(discrete quantity)으로서 길이, 면적, 시간 등 연속적인 양(continuous quantity)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수, 시간, 공간 등 다양한 차원의 양적인 표상의 정보처리는 후측 두정엽(posterior parietal cortex), 특히 두정 내 고랑(intraparietal sulcus, IPS)에 위치한 공통의 뇌 기제(common brain mechanism)에 기반한다는 가설이 대두되었다. 이 가설을 검증하는 실험적 증거와 후속 연구의 방향을 소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