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Job Preference among Culinary Students Based on Their High Schools

출신고교에 따른 외식조리학과 재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직업선호도 관계 연구

  • Received : 2013.04.02
  • Accepted : 2013.09.15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desirable way to design culinary education programs at university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job preference based on their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decided to choose culinary arts as their major by themselves. Most students found a career in the culinary field demanding, nevertheless, they appeared to have a strong desire to take up the challenge. Students from culinary high schools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their practical cooking courses, while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seemed to be highly satisfied with those same courses. On the other hand, students from academic high schools showed a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theory courses, which factored into their decision to choose culinary arts as their major. However, there appeared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ents. Most students, regardless of satisfaction with their education, considered working abroa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 culinary training program in universities should be divided tin three groups; academic, vocational & culinary. Each group to have classes in theory, practical and English designed with respect to their prior high school training. In addition, an opportunity for overseas employment should be offered to all three categories.

본 연구는 조리학과에 재학생을 대상으로 졸업고등학교를 변인으로 하는 학업만족도와 직업선호도에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에서 조리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바람직한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그 결과 기본적인 정보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학과를 결정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 대부분은 조리분야의 직업이 힘들고 어려운 것을 알고 있었고, 그렇지만 이를 극복하고 성공하겠다는 도전적인 의지가 강하게 나타났다. 출신학교별로 학업만족도에서는 조리관련 고등학교 출신학생들이 실습프로그램에 낮은 만족도를 보였고, 실업계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인문계 학생들은 이론과목에 만족도가 다른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과선택에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출신학교별 직업선호도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학업만족도와 직업선호도간에 관계에서는 학업만족도가 높으면 직업선호도 역시 높게 나타났으며, 해외 취업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데는 학업만족도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해외취업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조리관련 고등학교 졸업생들에 대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도입, 실업계 고등학교 출신 학생들의 실습교육 적응프로그램 개발과 학업만족도에 따른 그룹에 있어서 높은 그룹은 자기주도적인 진로설계를 유도하는 반면 하위그룹에게는 해외취업과 같은 동기부여를 통해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