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Value Improvement of Korean Geological Heritage

우리나라 지질유산의 보존과 가치 증진을 위한 사례 연구

  • Lim, Jong-deock (Natural Heritag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13.03.01
  • Accepted : 2013.05.15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Among the UNESCO World Heritage Sites, the proportion of natural heritage to cultural heritage is relatively small. In 2007, the "Jeju Volcanic Island and Larva Tubes" was the first one that was designated as an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Site in Korea. The growing Korean geological heritage condition and conservation case studies on management of the geological heritage were examined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future driving strategy for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plan on our geological heritage. Natural Monuments as a state-designated natural property and Geoparks as a new application system for geological heritage are important to conserve our geological heritage. Public engagement through establishment of visitor centers is definitely needed to improve education and promotion. The study includes field investigation for the "Wadden Sea", an World Natural Heritage Site for a mud flat, interviews with staffs and experts who are responsible for investigating and managing the site. Three factors can likely be attributed to its successful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olicy for the "Wadden Sea". First of all, there is an operation fo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joint secretariat for research and monitoring. Next, researchers invigorate the visitor centers for promotion and education on geological heritage. Finally, experts and staffs implement various research topics and projects based on a long-range plan.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resent condition of our geological heritage and to make a proposal as a policy to improve value and conserve them.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future discussion that may help researchers to make a decision on long-term policies for the geological subject of Korean natural heritage.

유네스코(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세계유산 가운데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문화유산에 비하여 매우 적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7번과 8번의 기준에 부합하여 지난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질유산에 대한 현황과 관리 및 보존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지질유산 보존을 위한 중장기 추진 전략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국가지정문화재로 보호받거나 지질공원과 같은 새로운 지질유산의 활용시스템을 도입하여 효과적인 교육과 홍보를 할 수 있는 방문객센터 건립을 통한 지질유산의 교육과 활용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갯벌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와덴해(The Wadden Sea)'를 직접 방문하여, 세계유산 현장을 조사하고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정리하였다. '와덴해'의 성공적인 세계유산 관리와 보존을 위한 정책은 크게 세 가지 요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연구와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관리시스템과 공동사무국의 운영이고 둘째, 지질유산의 홍보와 교육을 위한 방문객센터의 활성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기 발전계획에 따른 전문가들의 다양한 연구과제와 프로젝트의 실행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질유산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가치를 증진하고 보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우리나라 지질분야 자연유산의 중장기적인 정책적 결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