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Structural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Hunting Pit in the Bronze Age - Focusing on Relics in Ulsan and Chuncheon Area -

청동기시대 함정유구의 구조분석과 성격 검토 - 울산, 춘천 지역 유적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3.03.29
  • Accepted : 2013.05.21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After analyzing the location, arrangement, inner structure, and form of the hunting pit in the Bronze Age, this paper sets up three types and talks about types of hunting pits. After analyzing the types of the hunting pit, three types of hunting pits are derived: mountain district - large group's arrangement - long oval - I II type(A), mountain district - arrangement in a line - oval - I type(B), flat area - arrangement in a line - oval - I III type(C). Literature, the ways in hunting pits, the purpose of the installations, and the characters are studi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anthropological cases. Even though hunting pits of types A and B are constructed to hide and get protein and bone of animals for breeding,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ways in hunting and characters. Type of A seems to be constructed only for occupation that is the standardized hunting method on a small works. However, type B is the chasing method to hunt as a group and it has various purposes including main occupation. For example, it is for improving the war skills by practicing the hunting strategies and cooperating with the people. In addition, it is for getting a sacrifice for god. The type C hunting pit is estimated that it plays a role to protect themselves from invasion. It's inferred that there are many purposes for military defense and protection of people or animals within the village. It is the reason why the construction is spread in hunting pit including various purposes in the Bronze age that originates in social and economical specialization like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appearance of a chief.

본고는 청동기시대의 함정유구를 대상으로 입지, 배치, 내부구조, 형태 등을 분석한 후 유형을 설정하고, 유형화된 함정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작성되었다. 함정유구를 분석한 결과, A~C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문헌, 민족지적 사례, 발굴조사 자료를 참조하여 유형별 함정의 사냥방법, 설치목적, 성격에 대해 검토하였다. A유형은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고정적인 사냥방법으로 단순히 생업을 위해 설치되었다. 그러나 B유형은 조직적이고 집단적으로 행해지는 몰이식 사냥방법으로 부족한 식량을 조달하기 위하여 행해지지만, 대규모 수렵을 통한 전술 연마로 전쟁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공동체의 협동을 통하여 집단 조직력을 강화하기도 한다. C유형의 수렵함정은 적으로부터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어적 목적, 마을 내의 사람과 가축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 그리고 최근 발굴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마을과는 떨어진 농경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 등 크게 세 가지로 유추하였다. 이상으로 청동기시대는 농경 생산성이 확대되고 수장이 출현하는 등 사회 경제적 분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함정유구 또한 구조, 목적, 성격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함정이 본격적으로 설치, 확산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