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프리미엄 아울렛 몰의 공간구조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n Spatial Structure of Premium Outlet Malls - With Reference to Local Cases -

  • 전용석 (홍익대학교 건축공학부)
  • 투고 : 2014.07.01
  • 심사 : 2014.11.27
  • 발행 : 2014.12.30

초록

A new type of shopping mall, called "premium outlets",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since 2007. Since then, it has been increasing in number and developing its distinctive shopping environment as a place not only for purchasing low-priced goods but for enjoying outdoor family outing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current spatial structure of the premium outlets in Korea and find out which spati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improving shopping environment.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ree premium outlets(Yeoju, Paju, & Busan branches) developed by ShinsegaeSim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e followings: first, it is advised to form spatial structure that has similarly high integration value per level. The survey conducted showed that most visitors tend to wander around outdoor facilities long hours and purchase goods on impulse. In addition, integration value of Space Syntax analysis turned out to match visitors' preference. With this condition, similar integration value per level could maximize visitors' shopping trip. Secondly, improvement of attraction factors by properly disposing most popular line of goods with proper anker s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particular sales area, especially with relatively low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values, is turned away by visitor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1. 최윤경, 7개 키워드로 읽는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2. Jeffrey Hardwick, Mall Maker: Victor Gruen, Architect of an American Dream,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4
  3. Paco Underhill, Call of the Mall, Simon & Schuster Paperbacks, 2004
  4. 성이용, 이상호, 엔터테인먼트 쇼핑몰의 유형 및 내부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6권 제4호, p.p.125-132, 2010.4
  5. 문정은, 김봉애, 면세점 판매공간구조와 고객 이동동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7권 제6호, p.p.21-30, 2011.6
  6. 이지성, 문정묵, 상업 몰(mall)공간에서 V.P의 주목도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5호, p.p.51-58, 2011.10
  7. 김형중, 북미 쇼핑몰의 변화에 따른 평면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2호, p.p.155-162, 2010.4
  8. 김성홍, 쇼핑몰의 공간조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11호, p.p.39-50, 1996.11
  9. 유민태, 이덕조, 박태원, 프리미엄 아웃렛쇼핑몰의 공간구성요소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07-315, 2012
  10. 문서영, 최윤의, 이정아, 전진형,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광장 주변의 보행동선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추계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p.p.163-169, 2012
  11. 박태원, 이덕조, 심재관,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아웃렛쇼핑몰의 공간구성요소와 만족도 및 재방문의사 실증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2호, p.p.15-24, 2013.2
  12. 우승현, 윤혜경, 스트릿 몰의 매장 배분계획과 영업활성화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8권 6호, p.p. 202-210, 2009.12
  13. 김안나, 이경훈, 백화점 매장 내 개별점포의 인지도가 소비자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3권 제4호, p.p.3-10, 2007.4
  14. 김도현, 김영욱, 대규모 복합 상업공간에서 공간구조 해석 방법에 따른 보행자 움직임의 특성, 대한건축학회 창립60주년 기념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5권 제1호, p.p.155-158, 2005.10
  15. 황재홍, 안병주, 김회율, 김재준, 국내 대형 복합쇼핑몰의 공간구조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 p.p.73-76, 2008.10